인텔 n100 미니pc로 ubuntu 기반 홈서버 구축하기 (2)

박해인·2024년 11월 16일
0
post-thumbnail

자 Ubuntu를 설치한 이유가 무엇인가?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
그럼 포트포워딩을 진행해줘야 한다.

포트포워딩 ?

내가 내 네트워크(와이파이)를 통해서 서버를 실행하고 있다.
근데 이 네트워크랑 연결된 기기들은 내 서버가 실행되는 우분투가 설치된 미니PC 외에도 여러개일것이고, 여러 기기는 같은 공인 IP를 공유하고 각 기기는 서로 다른 내부 IP를 가진다.
또한, 각 기기는 다양한 포트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외부 ip에서 접근하게 된다면 어떤 기기의 어떤 포트에 접근할지 알 수 없다는것.
그래서 포트포워딩을 통해 지시를 해주는 것이다.
너가 공인 IP외부 IP 주소 로 외부에서 접근하면 어떤 기기의 어떤 포트로 갈지를 알려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암튼 내 미니 PC는 내부 ip 192.167.0.3을 사용하고 있다.
내 기기가 사용하는 내부 ip 확인 하는 방법은
iptime 관리자 페이지 또는 ubuntu에서

ifconfig

로 확인하면 된다.

외부에서 공인 ip : 외부 포트 를 사용해서 접근하면 내부 ip : 내부 포트 로 접근하도록 설정한다.
→ 이 개념을 이해못하면, 포트번호로 헤맬 수 있음 ;; 내가 그랬음 ;;

나는 github actions를 통해 배포 자동화를 하려고 했기도 했고
모니터도 임시방편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ssh 접근용,서버 접근용 두가지 규칙을 설정해 주었다.

  • 보통 ssh 포트는 22번 포트를 사용함 -> ( config파일에서 변경 가능함 )

ubuntu에 OpenSSH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sudo systemctl start ssh

이렇게 했을 때

이렇게 뜨면 성공적으로 실행된 것이다.

자 이제 그럼 윈도우에서 ssh로 접속해보자

ssh -p 234 ubuntu유저네임@외부ip주소

이렇게 접속하면

유저네임@외부ip주소's password:

라고 뜨면 ubuntu 사용자 비밀번호 입력하면

welcome 이라고 뜬다.

여기까지 하면서
내부 ip, 공인 ip 헷갈려서 설정에서 시행착오가 많았다.
매일 느끼지만 오류뜨면 무작정 남들하는거 따라하는 습관을 좀 버리자.

profile
갓생살고싶어라

1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