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는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다.(Stateless)
- 일반적으로 초 단위 이하의 빠른 속도로 응답
- 서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연결성 모델
단점 : 연결된 클라이언트가 많을 수록 서버의 자원이 소모된다.
장점 : 한번의 3 way handshake를 통해 데이터를 언제든지 주고 받을 수 있다.
비 연결성 모델
장점 : 요청을 주고 받을 때만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자원만 소모된다.
단점
- TCP/IP 연결을 새로 맺어야한다. (3 way handshake 시간 추가)
- 매번 JS,css, 추가 이미지 등 새로 다운로드 받는다.
- HTTP 지속 연결(Persistent Connections)을 통해 문제 해결
- HTTP/2, HTTP/3에서 더 많이 최적화되었다.

HTTP 지속 연결(Persistent Connections)

MDN - HTTP/1.x의 커넥션 관리
웹페이지를 모두 다운받을 때 까지는 연결되어있다.
서버 개발자들이 어려워하는 업무
같은 시간에 일어나는 대용량 트래픽
최대한 Stateless하게 만들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