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kit-learn 특징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구현한 파이썬 라이브러리 심플하고 일관성 있는 API, 유용한 온라인 문서, 풍부한 예제 머신러닝을 위한 쉽고 효율적인 개발 라이브러리 제공 다양한 머신러닝 관련 알고리즘과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와 API 제공 많
소스 : https://www.kaggle.com/uciml/irisCSV 파일에는 약 150개의 데이터가 있는데,100개는 학습(train)을 위해 사용, 50개는 테스트(test)를 위해 사용https://scikit-learn.org/stab
result 부분은 P와 Q를 XOR한 결과이다데이터를 학습시키기 위해 sklearn에서 svm을 import해야한다.위에서 SVC()를 통해서 만든 clf는 SVC 객체이다.그리고 앞에서 나눴던 data, label을 fit() 함수를 통해 학습을 시킨다.fit()의
인공 신경망의 학습: 모델의 구성 요소이자 데이터로부터 학습되는 것: 손실함수의 값을 줄여나가는 과정이 곧 모델을 학습하는 과정
머신러닝이란?지도학습이란?어떤문제에 대해 맞다, 틀렸다를 지정하여 컴퓨터에게 학습을 시키는 것이다.위와 같이 데이터들이 X, 그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Y로 넣어 준비를 한다.이런식으로 학습을 시켜 모델을 생성하고 예측을 한다.지도학습은 Y의 형태에 따라두 가지로 나뉜다
조건식의 '참', '거짓' 판정 Truty, Falsy 참,거짓값 SCE : Short-circuit evaluation 논리연산자 and, or의 결과 sce설명 or 왼쪽이 참인 경우 '왼쪽' 수행결과값 리턴 왼쪽이 거짓인 경우 '오른쪽' 수행결과값 리턴 and
수를 입력 받아 5의 배수인지 아닌지 구분 ex) 입력 : 10, 결과 : 5의 배수입니다. 수를 입력 받아 0보다 크고 100보다 작으면 정상 아니면 비정상으로 출력 <img src="https://velog.velcdn.com/image
코드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장특정 상황에 따라 코드를 선택하여 실행 또는 일정부분을 반복하는 문장조건식의 결과에 따라서 실행하는 문장단순 if - 조건식의 결과가 참일때의 경우만 존재if문\_예제if ~ else문 - 조건식의 결과가 참과 거짓에 따라서 선택하여 실행하는
키보드를 통해서 입력받는 함수데이터 공간에 입력받은 값은 항상 저장해주어야 한다. ex) a = input()input으로 받은 데이터는 type이 str이다. 값에 따라 형변환이 필요하다.input()안에 문자열을 넣을 수 있다.python은 아주 input도 간단하
1. 자동 형변환 정수와 실수를 같이 연산하여 데이터 타입을 바꾼다 ex) 5 + 5.6 = 10.6 2. 강제 형변환 바꾸고 싶은 데이터 타입으로 묶어준다 |타입|의미| |----|---| |bool()|bool로 변환| |int()|int로 변환| |str()|
1. 산술 연잔자 |종류|의미| |---|---| |+ |덧셈| |- |뺄셈| |* |곱셈| |** |거듭제곱| |/ |나눗셈| |// |몫| |% |나머지| 2. 대입연산자 대입연산자 연산자 사용방법 = a = 1 a
원하는 문자열로 출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출력 자리수를 지정서식문자의 사이에 정수를 넣어 자릿수 확보, 정렬을 한다.음수면 좌측정렬, 양수면 우측정렬여백을 문자로 채우는 방법
출력함수 : print() Python은 print() 함수를 써서 출력을 한다. 출력시 도움을 주는 문자들 서식문자 제어문자(이스케이프 문자) 콘솔에서 특수한 기능을 하는 문자들 약 30가지 문자열 안, 실행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와 함께 기능에 맞는 문자를
자료형 Python 자료형의 종류 bool(논리형) : 참(True)과 거짓(False)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자료형 int(정수형) : 정수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자료형 float(실수형) : 실수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자료형 str(문자열) : 문자열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Python이란? 대화식 언어인 인터프리터 언어(스트립트 언어)이다. 플랫폼에 독립적이다. 객체지향 언어이다. 특징 코드를 indent(tab)로 구분한다. ;을 굳이 적이 않아도 된다.(한줄에 여러개 선언시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