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FS & DFS

Eunjin Kim·2022년 4월 28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2/2

너비 우선 탐색(BFS)

루트를 시작으로 탐색을 시작하면 먼저 루트의 자식을 차례로 방문한다. 다음으로 루트 자식의 자식, 즉 루트에서 두 개의 간선을 거쳐 도달할 수 있는 정점을 방문한다.

  • 큐(queue) 자료구조를 사용. 노드를 방문하면서 인접한 노드 중 방문하지 않았던 노드의 정보만 큐에 넣어 먼저 큐에 들어있던 노드부터 방문하면 된다.(물론 큐를 사용하지 않아도 구현이 가능)

  • 파이썬에서 큐를 list 타입을 사용해 자료를 입력할 때는 list.append(something), 출력할 때는 list.pop(0) 와 같이 구현하는 경우가 있는데 list.pop(0) 은 시간복잡도가 O(N) 이라 이렇게 구현하면 시간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인 코드가 만들어지게 된다.

  • 따라서 collections 라이브러리의 deque 를 사용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인접 노드 중 방문하지 않았던 노드를 큐에 넣을 때는 파이썬 데이터 타입 중 set 을 사용하면 아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만약 다음과 같이 방향이 있는 유향그래프를 BFS로 탐색한다면,

graph_list = {1: set([3, 4]),
              2: set([3, 4, 5]),
              3: set([1, 5]),
              4: set([1]),
              5: set([2, 6]),
              6: set([3, 5])}
root_node = 1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_with_adj_list(graph, root):
    visited = []
    queue = deque([root])

    while queue:
        n = queue.popleft()
        if n not in visited:
            visited.append(n)
            queue += graph[n] - set(visited)
    return visited
  
print(BFS_with_adj_list(graph_list, root_node))

깊이 우선 탐색(DFS)

루트의 자식 정점을 하나 방문한 다음 아래로 내려갈 수 있는 곳까지 내려가고, 더 못 내려가면 위로 되돌아 오다가 내려갈 곳이 있으면 즉각 내려간다.

  • 스택(stack) 자료구조를 사용. 먼저 방문한 노드에 연결된 노드보다 현재 방문한 노드에 연결된 노드를 방문해야 한 방향으로 갈 수 있다.

만약 이전과 같이 방향이 있는 유향그래프를 DFS로 탐색한다면,

def DFS_with_adj_list(graph, root):
    visited = []
    stack = [root]

    while stack:
        n = stack.pop()
        if n not in visited:
            visited.append(n)
            stack += graph[n] - set(visited)
    return visited

print(DFS_with_adj_list(graph_list, root_node))

문제 유형/응용

1)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방문하는 것이 주요한 문제

단순히 모든 정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의 경우 DFS, BFS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을 사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둘 중 편한 것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2) 경로의 특징을 저장해둬야 하는 문제

예를 들면 각 정점에 숫자가 적혀있고 a부터 b까지 가는 경로를 구하는데 경로에 같은 숫자가 있으면 안 된다는 문제 등, 각각의 경로마다 특징을 저장해둬야 할 때는 DFS를 사용합니다. (BFS는 경로의 특징을 가지지 못합니다)

3) 최단거리 구해야 하는 문제

미로 찾기 등 최단거리를 구해야 할 경우, BFS가 유리합니다.

왜냐하면 깊이 우선 탐색으로 경로를 검색할 경우 처음으로 발견되는 해답이 최단거리가 아닐 수 있지만,
너비 우선 탐색으로 현재 노드에서 가까운 곳부터 찾기 때문에경로를 탐색 시 먼저 찾아지는 해답이 곧 최단거리기 때문입니다.

이밖에도

  • 검색 대상 그래프가 정말 크다면 DFS를 고려
  • 검색대상의 규모가 크지 않고, 검색 시작 지점으로부터 원하는 대상이 별로 멀지 않다면 BFS

참고 블로그 링크 : https://cyc1am3n.github.io/2019/04/26/bfs_dfs_with_python.html
https://devuna.tistory.com/32

profile
ALL IS WELL🌻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