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히 티스토리를 택한 이유는 없구요, 그냥 새 삶을 살려구요.사실 이미 떠나서 정착한 상태입니다. 많이 놀러오세요~!~! https://eunjinii.tistory.com/
B2B회원이 숙소 예약을 하면, 입실 전까지는 업무예약과 일반예약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추가된 기능에서는 디자인 팀에서 제공한 Lottie(로띠) 파일을 삽입해야 했는데, 여기에서 로띠란 After Effect로 만들어낸 움짤 같은 json
쿠폰을 리스트별로 중복으로 선택하는 기능을 구현하면서 mutations와 lodash의 소중함을 배웠다.기존의 쿠폰적용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업데이트 후의 모습은 찐 업데이트 후 업데이트할 예정..(?)
HTML 요소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요소를 포함한 모든 조상 요소에 이벤트를 전달한다. 왜 전달하는지 알아보고 이벤트가 전파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fetch 함수는 XMLHttpRequest 객체보다 최근에 나온, HTTP 요청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Web API다. 데이터를 받아오기 위해 습관처럼 쓰던 fetch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프로미스는 then, catch, finally 후속 처리 메서드를 활용하여 콜백 헬 문제를 해결한다. 후속 처리 메서드를 이은 프로미스 체이닝과, 프로미스 객체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5가지 정적 메서드를 알아보자.
앞서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처리를 위해 콜백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 콜백 헬이 발생하고 에러 처리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발생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ES6에서 등장한 Promise에 대해 알아보자.
기능 구현만을 위해 백엔드 데이터를 받아오기 위해 기계적으로 썼던 fetch, then 등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처리를 위한 문법을 다시 들여다보고 기본을 다잡고자 정리해보려 한다. 프로미스란 무엇이고, 왜 등장했을까?
코드 리팩토링을 하다가 백엔드에서 보내 준 데이터에 중복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중복을 없애기 위해 Set 객체를 사용해보기로 하였다.
이전에 진행한 프로젝트를 다시 npm start해서 열어보니 그 때는 문제가 없었던 CSS가 깨져서 보이기 시작했다.. CSS 수정하기 시작..!
세계 최대의 숙박 공유 서비스인 에어비앤비는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종류의 숙소 및 서비스를 공급합니다. 집주인은 숙소에 대한 소개, 사진, 숙소의 규칙과 같은 여러 형태의 정보들을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 놓으며, 이용객은 자신이 원하는 숙박 유형, 날짜, 위치, 인원
숙소 리스트 페이지에서 직접 제작한 페이지네이션 부분을 Material-UI 를 사용하여 바꾸어보았다.
컴포넌트 함수 내부에서 특정 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렌더링하는 것을 조건부 렌더링이라고 한다. 가독성을 높이는 조건부 렌더링 방법과 특징을 알아보고 어떻게 가장 최적화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작업하는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 수록 생각지 못한 곳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일이 잦아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PropTypes를 활용하여 타입(type)을 확인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협업을 하면서 다른 팀원들의 코드를 살펴보고 내 코드에 적용할 기회가 아주 많아졌다. 오늘 정리해보고 싶은 포인트는 default export와 named export의 차이점이다.
이번엔 구체적인 날짜 말고, 년도와 월을 선택해서 조회하는 기능을 붙이게 됐다. Date Picker 까지는 필요 없을 것 같고 기존 한전 사이트에도 셀렉트박스가 있길래 나도 적용하기로 했다.
프로젝트 중, 데이터 형식 때문에 골머리를 썩던 백엔드 분의 자바스크립트 문법 질문에 당황했다. 알고 보니, 인자가 Array 타입인지 판별하는 메서드였다.괄호 안에 객체를 넣고, 객체가 array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한다.
한전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업무를 맡게 됐다. 사업장의 년도별, 월별, 일별, 시간별 사용량/요금현황 데이터를 차트로 한번에 보여주어야 한다. 나는 가장 군더더기 없는 Recharts 라이브러리를 선택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