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2

다람·2023년 5월 17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2/2
post-thumbnail

게이트웨이

이종 프로토콜 및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문 역할을 한다.

IP

Internet Protocol 약자로, 인터넷 망을 통해 패킷을 전달하는 프로토콜이다.
비연결성(패킷을 보내는 길을 정하지 않는다), 비신뢰성(패킷의 완전한 전달을 보장하지 않는다)

IP 주소

호스트나 라우터 장비의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32bit 주소로 이 주소를 통해 장치들이 서로 인식하고 통신할 수 있다.

mac 주소

2계층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 주소이다.

ip주소와 mac주소 차이

ip주소 : 보낸 주소에서부터 도착지 주소까지의 경로를 찾기 위해 필요한 주소
mac주소 : 한 주소 내에서 다양한 기기들이 있을 때, 해당 기기들이 각각 어떤 기기들인지 식별하기 위해 필요한 주소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TCP/IP에서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이다. 해당 호스트가 없거나 해당 포트에 대기 중에 서버 프로그램이 없는 등의 에러 상황이 발생할 경우 IP헤더에 기록되어 있는 출발지 호스트로 이러한 에러를 보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표적 2가지 에러

  • Destination Unreachable : 목적지에 도달 못함
  • Time Exceeded : 시간이 오래 걸려 목적지에 도달 못함

IGMP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멀티 캐스팅 데이터의 수신을 위해 사용되며, 호스트가 멀티 캐스트 그룹 구성원을 인접한 라우터에게로 알리는 프로토콜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주소 결정 프로토콜로서 IP 주소를 사용해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mac주소)를 얻는데 사용한다. ARP를 이용해 중복된 IP 주소를 찾을 수 있다.

DNS (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

DNS 작동 순서

프록시 서버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거쳐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중간에서 대리해주는 서버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역할이다.

로드밸런싱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켜주는 시스템이다.

HTTP 메서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사용자 요청의 목적을 알리는 수단
GET : 데이터 조회
POST : 요청 데이터 처리 (보통 데이터 등록을 위해 사용)
PUT : 데이터 변경 (해당 데이터 없으면 생성)
PATCH : 일부 데이터 변경
DELETE : 데이터 삭제

멱등 -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
캐싱 - 캐시를 사용하는 것
캐시 - 자주 필요한 데이터 값의 복사본을 일시적으로 저장,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

세션 기반 인증과 토큰 기반 인증의 차이에 대해 설명

세션 기반 인증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으면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므로 stateful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토큰 기반 인증은 상태 정볼르 서버에 저장하지 않으므로 stateless한 구조를 가진다.

세션 기반 인증의 단점

  • 서버에 세션을 저장하기 떄문에 사요자가 증가하면 서버에 과부하를 줄 수있어 확장성이 낮다.
  • 해커가 훔친 쿠키를 이용해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올바른 사용자가 보낸 요청인지 알 수 없다.

세션 기반 인증과 토큰 기반 인증을 어느 경우에 써야 하나?

단일 도메인이라면 세션 기반 인증을 사용하고, 그게 아니라면 토큰 기반 인증을 사용한다. 왜나면 세션을 관리할 때 사용되는 쿠키는 단일 도메인 및 서브 도메인에서만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도메인에서 관리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
안녕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