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형 큐란 큐를 응용하여 만드는 것으로 정해진 개수의 공간을 빙 돌려가며 큐를 사용하는 것이다.....
큐는 스택과 마찬가지로 자료구조에 대해 얘기하면 빠지지 않는 대표적인 자료구조로 선형 구조의 자료구조이다....
중위 표기법이란 우리가 일반적으로 수식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연산을 수행할 숫자 사이에 연산자를 쓰는 방식이다.....
스택은 데이터를 위로 쌓아올려 저장하는 선형 자료구조로 LIFO(Last In First Out)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지난 포스트에서 다뤘던 Doubly Linked List(양방향 연결 리스트)를 적용시켜 볼 수 있을 알고리즘 문제가 무엇이 있을까 찾다가 역시나 LeedCode에서 찾을 수 있었다(사이트를 알게 된지는 얼마 지나지 않았지만 꽤 괜찮은 알고리즘 사이트인 것 같다)...
지금까지 우리가 다뤘던 연결 리스트들은 모두 자신의 뒷 노드만을 바라보고 있어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한(순회가 가능한) 연결 리스트였다...
지난 시간에 만들었던 연결 리스트는 헤드가 1번 노드를 가리키는 연결 리스트로 헤드는 1번 노드, 테일은 마지막 노드(nodeCount번 노드)를 지칭하고 있었다....
추상적 자료형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료의 형태, 연산을 수학적으로 정의한 모델로, 이름 그대로 추상적인 개념일 뿐,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대한 명시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