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Log4j가 Spring의 카테고리가 맞는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내가 현재 스프링으로 개발중이고, 실제 여기서 쓰고 있기 떄문에 해당 카테고리로 뺐다. 왜? 내 블로그니까!!!! 암턴 내가 Spring을 통해 처음 개발을 진행했을 때 console로 결과 값을
과거 내 블로그에 간단한 테스트를 통해 페이징 구현을 설명했었다. 나는 공부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회사 업무에서 페이징을 적용하면 되겠지! 라고 생각하며 큰 걱정이 없었다. 그러나 회사에서는 view에 표출되는 테이블을 jqGrid를 적용하여 표출해주시길 바랬고, 기존
나는 현재 재직중인 회사에서 spring framework를 활용하여 개발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그 외에도 jquery, jsp, mariaDB, postgresql 등등 많은 기술스택을 사용하고 있지만 하나도 제대로 아는 것이 없다고 느껴진다. 내가 처음 멋진 개발자
리스트 표출을 구현하는 작업이 있었는데 다 만들고 내 코드를 보는데 정말 지저분했다...화면 랜더 시 표출 리스트, 필터 및 검색 조건에 따른 표출 리스트, 페이징에 따른 표출 리스트 등등 너무 보기 힘들었다...근데 직장 동료가 이거 jqGrid 쓰면 편한데? 라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엑셀 업로드 기능과 다운로드 기능을 추가 요청이 있었다. 자바로 개발 경험이 부족했던 나는 이걸 어떻게 만들지...하면서 구글링을 했었다. 근데 많은 사람들이 poi 라는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개발을 진행한 예시가 있었다. 사실 많은 글을 봤지만 솔
개발을 하면서 maven 의미도 모르고 그냥 이렇게 사용해! 라는 말에 진짜 그렇게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에 노트북을 바꾸면서 maven을 통한 에러를 발견하게 되었고, 이번 기회에 maven 이라는 것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maven을 정리하기 전에 공부
게시판 기능구현 중 페이징 기능에 대해서 너무 막막하다보니 정하게 되었다,,, 리액트에서 구현하면 생각보다 간단했는데 java와 jsp를 합쳐서 구현하다보니 막막해서 이렇게 정리한다. 1.Pagination.java 먼저 페이징 기능에 필요한 요소들을 vo 만들어준
오늘은 JAVA를 MAC에 설치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정리하려고 한다. 1.SDKMAN을 이용해서 openJDK설치하기설치 링크 https://sdkman.io/install $ curl -s "https://get.sdkman.io" | bash $
Next.JS에서 style을 적용하는 방법내용을 정리하려고 한다. 기존에 scss, style-comonent 등을 사용해봐서 금방 하겠지라는 생각했지만 조금 어려웠을지도,,,🥲 style > 아래 이미지는 내가 실제로 style을 적용한 내용과 방식을 정리하였다
Next.js란? 간단히 말하면 react 라이브러리의 프레임워크이다. 근데 이미 많은 사용자들이 있는 react에 프레임워크가 필요한가?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많은 사용자들이 Next.js를 사용하는 이유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기본 타입(Primitive)byte, short, int(정수), long, float, double(실수), char(한 문자)중간에 선 그은 내용은 byte 참조레퍼런스 타입(Reference)String(여러문자), 배열, 객체, 콜렉션논리형 타입 boolean
모든 언어의 조합과 소스 코드 레파지토리에 지속적인 통합과 지속적인 배포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도구이다. 젠키스를 통해 빌드, 테스트, 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개발의 품질과 생산선을 높일 수 있다.웹 기반의 콘솔로 다양한 인증 기반과 결합이 가능하며 권한 관리 기능
아직도 나는 자바스크립트 핵심에 대해서 부족하다고 많이 느낀다...뭔가 해야하는 일은 많은데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암튼,,,오늘은 자바스크립트 Symbol의 개념부터 다시 잡아보려고 한다.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는 아래와 같은 타입을 가지고 있다.원시 타입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성능을 측정하고 보여주는 테스트 도구서버에 많은 요청을 보내서 과부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기본적인 설치법은 생략하고 작성한다.테스트 진행 전 User Defined Variables에서 환경변수를 등록할 수 있는데user_numbe
react에서 typescript를 사용하려는데 도저히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해당 내용은 실전에서 바로 사용하려고 하기 때문에 설명글은 아니다...나를 위한 글...😂 JSX는 DOM 요소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React의 태그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