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트롤러 클래스를 지정함으로써, 요청과 관련된 메서드를 처리할 수 있게된다.메서드의 반환 값이 String일 경우, view 이름으로 인식하여 view가 렌더링 된다.@Controller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다만, 차이점이 존재한다.반환 값이 String일 경우,
발생한 행위에 대한 정보를 시간에 따라 남겨둔 데이터아래는 로그의 예시이다.기본적으로 시간, 로그 레벨, 프로세스 ID, 쓰레드 네임, 클래스 네임, 로그 메시지 형식을 갖는다.로그는 System.out.println()과 마찬가지로 console에 출력된다.그렇다면
Koala 알고리즘 학회가 활성화되며, 재작년을 1회로 시작하여 올해 3회차를 맞이한 KAUPC, 드디어 참여할 여유가 생겨 도전했다.오프라인 대회는 처음이라 상당히 기대하며 대회장으로 향했고,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자리하고 있어 놀랐다.운영 측에서 콘센트는 물론이고
Spring Bean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의존관계 주입이 끝난 이후에야 가능하다.그렇다면 개발자는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시점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Spring Bean은 다음과같은 생명주기를 가진다.Spring 컨테이너 생성 $\\to$ Spring Bean
의존관계 주입 방법 객체 간의 관계, 즉 의존관계는 @Autowired를 통해 설정한다. 이러한 의존관계 주입의 방법은 네 가지가 있다. ❗️생성자 주입 : 생성자가 하나일 경우 생략 가능하다. 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https:/
이전까지 우리는 아래와같이 @Bean을 통해 Spring 컨테이너에 Spring Bean을 등록했다.AppConfig.java등록해야 할 Bean이 많아질수록, 누락할 위험과 번거로움을 감수해야할 것이다.따라서, Spring은 @ComponentScan을 통해 설정 정
우선, 스프링 없는 순수 Java로 이루어진 DI 컨테이너를 떠올려보자.여러 Client가 객체를 요청하면, 아래와같이 호출할 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여 반환할 것이다.이는 수천개의 요청이 들오오면 객체또한 수천개를 생성하게 됨을 의미하고, 심각한 메모리 낭비를 야
ApplicatoinContext는 Spring 컨테이너의 최상위 Interface인 BeanFactory를 상속받은 Class이자 Spring 컨테이너이다.Spring 컨테이너 : 객체들의 설정 정보를 전달받아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이다.Spring 컨테이너는 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