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심화 과정을 배우다, Django로 넘어 왔는데..
넘어오기 전에 복습 개념으로 파이썬 기본 문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a = '사과'
b = '주스'
c = 3
위 코드에 a,b,c를 변수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사과나 주스를 담고있는 바구니 같은 개념입니다.
이때 정수형(숫자형)값이 있고, 문자형값이 존재합니다.
정수형 값을 가르킬땐 ''와 ""같은 시작과 끝 맺음이 없어도 된다는 것이고,
문자형 값을 가르킬땐 정수형(숫자형)과 반대로 ''와 ""는 필수입니다.
2-1. 리스트
a = [1, 2, 3, 4, 5]
b = ['hello', 'python']
위 코드처럼 안에 여러가지의 값이 담겨있는 것을 리스트라고 합니다.
리스트의 인덱스를 이용해 출력이 가능한데, a에 담겨있는 값 [1, 2, 3, 4, 5]에
각 값 마다 고정으로 정해져있는 자리번호가 있는데요
a 리스트에 담겨있는 1의 자리는 0번이고, 4의 자리는 3번 입니다.
인덱스(저장값의 자리)는 고정적으로 0~부터 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2-2. 리스트 추가하기
a = [1, 2, 3, 4, 5]
b = ['hello', 'python']
a라는 리스트 안에 추가적으로 값을 넣고 싶을때 append라는 기능을 쓸수있어요.
예를 들어
a = [1, 2, 3, 4, 5]
b = ['hello', 'python']
a.append(6)
위 코드처럼 a.append()라는 기능을 쓰고 print(a)를 하게되면 맨 끝자리에 6이라는 값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append는 오른쪽 맨끝 자리에 값을 추가하겠다~라는 기능입니다.
3. 딕셔너리
a = {'name':'철수', 'age':16}
딕셔너리는 여러개의 응용이 가능한 값들을 저장하는 문법이에요.
위 a라는 딕셔너리 안에 name만 출력을 하거나, age를 같이 출력 할 수 있답니다.
기초문법을 익히고 알고리즘을 조금씩 풀어나가고 있는 저를 보면 언제 이렇게 달려왔지??라는 생각이 한번씩 듭니다.. 현재는 Django 라는 프레임워크를 배우고 있습니다.
좀더 파이썬에 대해 심도있게 배우고 Django에 들어야 되는데..
아무튼 저 처럼 공부하고 계신분들 전부 화이팅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