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rt()함수 응용
function solution(strings, n) {
var answer = [];
// 일단 strings을 정렬을 해야하니 sort()사용
answer = strings.sort((a, b) => {
// a와 b의 n번째 인덱스(문자)를 각각 이름을 붙인다.
var a_strings = a[n];
var b_strings = b[n];
// 만약 a의 n번째 글자와 b의 n번째 글자가 같다면 사전순으로 정렬해준다.
if(a_strings === b_strings) {
return (a>b) - (a<b);
}
// a와 b의 n번째 글자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준다.
return (a_strings > b_strings) - (a_strings < b_strings);
})
return answer;
}
console.log( solution( ["sun", "bed", "car"], 1 ) )
// 결과값: ['car', 'bed', 'sun']
(a>b) - (a<b)이거나 (a_strings > b_strings) - (a_strings < b_strings)이게 이해가 가지 않는 사람들은 이곳을 눌러서 제가 정리한 "sort()함수의compareFuntion"부분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