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orator :\-다른 함수를 인수로 받아 새로운 함수를 반환하는 고차함수\-함수나 메서드를 감싸서 그 기능을 확장하거나 수정하는 디자인 패턴\-@기호를 함수의 정의 바로 위 부분에 배치하여 해당 함수에 적용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와 같은것. Key와 Value 로 표현한다. a= 1,2,3,4초보자가 범하기 쉬운 리스트 연산 오류a=1,2,3a2+"hi" 를 연산할 수 있을까 ?정답은 할 수 없다. 정수와 문자열은 더할 수 없다. 이 것을 3hi로 변환하고 싶다면숫자 3을
인덱싱과 슬라이싱 a='life is too short'인덱싱 : 가르키는 것 a1 =>i슬라이싱 : 자르기a0:4=>'life'\*\*\*주의 a이상:미만a0:5=>'life\_'a0:3=>'lif' 업로드중..\*\*문자열 자료형은 요솟값을 바꿀수 없는 immuta
자료형이란 : 문자형인지 숫자형인지 알려주는 것 \*\*자료의 타입1)숫자2)문자열3)불 (참,거짓)\*\*자료를 담는 구조 4)변수 5)라스트 6)튜플7)딕셔너리 8)집합 \*\*변수: 담는 상자예) a=4a라는 상자에 4를 담는다 a=a+1a라는 상자에 a+1을
function add (x,y) { return x +y ; }sum과 answer 라는 키워드가 재정의 되었다.재정의는 재차 이용해야할 함수인 return 값으로 정의.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add (2,3)을 보았을 때는 무슨 연산을 하는 것인지 알
Math.random(): · 0~1 범위 안의 랜덤한 수 (난수)가 생성 · 값의 범위는 0.0000000~0.999999999 · 일정 범위에 따라서 랜덤한 숫자를 추출할 때 사용하는 함수 · 랜덤값 x 숫자 = 0 x숫자 =0~0.999999X 숫자 · 범위를 잡
ParseInt()함수의 사용·Parse-함수는 값을 변환해준다. 예를 들어 문자열을 입력했다면 Parse를 통해 이미지/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ParseInt()는 문자열을 int(정수)값으로 변환하는 함수이다.
while (조건문) {반복문 구문if(조건문) break;}● if 조건문이 참일 경우에 while 루프를 종료하여라
While Loop > while ([조건문]) { ...반복문 본문.... } ● 조건문이 참이라면 문장을 계속해서 수행한다. 조건문의 거짓이 된다면, 반복문 안의 문장은 실행을 멈추고 반복문 바로 다음의 문장으로 넘어간다. ● {}를 써서 문장을 묶어준다.
for loop의 바디 안에 다른 for loop를 넣는 것(예시1)for (let i=1; i<=10;i++) { console.log(i) for (let j=1;j<4;j++) { console.log(j) }}(예시2)cons
배열을 루프 시키는 방법 :const animals = 'lions','tigers','bears';for (let i =0; i<animals.length; i++) { console.log(i, animalsi); } //0 'lions' //1 'tig
Loop코드를 반복하게 해준다. 예를 들어 hello를 열 번 출력할때 console.log ("hello")를 열번 쓰는 대신에 Loop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배열 안에 있는 모든 수를 더해 줄 때 쓴다. Loop 문법1) For loop2) while loop3)
배열과 객체는 아래와 같이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하나의 배열 안에 객체가 들어감const shoppingCart = { product: 'Gommie Bear', price: 6.88, quantity: 1 }, { product: 'Jelly Bean
(서론) 인셉션, 아바타, 매트릭스 그리고 멀티버스 세계관을 보면 공통점이 있다. 모두 액자식 구성을 가지고 있고 눈 앞에 마주한 세상이 현실이 아니며 진짜 현실은 액자 밖에 존재한다는 설정이다. 그리고 진짜 현실로 이끌어줄 메시아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매트릭스의 네
객체에 새로운 정보를 추가 하거나 수정하는 방법두 가지의 방법이 있다. 첫번째, Val'key'='변경할 내용'두번째, Val.key=' 변경할 내용'
두 가지의 방법이 있고, 차이점이 있다. 첫번째 방법, Val"key"두번째 방법, Val.key차이점""-> 큰 따옴표가 있는 건 기호빼고는 문자열로 치환하기 때문이다..을 이용하면 변수에 유동성이 있을 때 찾을 수 없다. 예시)const years = {2020:
객체(Objects) 일종의 구조에 여러 데이터 조각(Property)을 저장하게 해주는 것 혹은, Property가 여러개가 모인 것이 객체이다. Property: 두 개의 정보가 모인 것. 레이블과 같은 키(Key) + 값(Value)으로 Pair를 이루며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