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Hub Action이란
- CI(Continuous Integration) & CD(Continuous Delivery) 플래폼
- 깃 이벤트 기반의 명령을 실행해주는 기능
- 빌드, 배포, 테스트 자동화
- 워크 플로우 생성

Github Action 구성
WorkFlows
저장소에 포함되는 자동화된 처리
- 자동화된 처리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잡을 설정
- 자신의 프로젝트 저장소에 YAML file 생성
- 실행 방법
- 수동으로 실행
- 저장소 이벤트에 따라 자동 실행
- 스케쥴에 따라 실행
Events
워크플로를 실행하는데 사용
- 이벤트 예시
- Pull-request 생성
- 이슈 오픈
- 커밋 Push
- 스케쥴
- REST API call
- 수동
Jobs
워크플로의 기본 작업 단위
- 같은 실행 Runner의 워크플로에서 동작하는 스텝의 모음
- Job은 기본적으로 의존성이 없음, 각각이 병렬 실행
- Job과 Job의 의존성을 설정 가능
- Job이 다른 Job에 의존성이 있는 경우 해당 Job을 기다림
Actions
깃허브 액션 플래폼에 복잡하거나 자주 반복되는 작업을 실행하는 사용자 지정 어플리케이션
- 워크플로 파일에 작성하는 반복적인 코드 작성 줄여줌
- 가장 작은 단일 명령
- 직접 만들 수 있으며 만들어진 것을 가져와 쓸 수 있음
Runners
이벤트 트리거에 의해 워크플로를 실행하기 위한 서버
- 각 실행될 때 하나의 잡을 실행
- 워크플로 실행 러너 OS 환경 제공
- Ubuntu Linux
- Microsoft Windows
- macOS
- 매 실행시 새 가상 환경 제공
- 다른 OS나 다른 하드웨어 사양은 직접 호스팅 가능
실습
깃허브 액션은 로컬 및 원격 두 저장소에 생성이 가능

프로젝트 > “.github” > “workflows” > “[워크플로].yml”
스케쥴 방식의 이벤트

이슈(push나 pull-request) 이벤트

수동

설정에 따라 자동 빌드가 잘 되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FastCampus
Git 주소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