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 터미널에서 Docker Pull 명령어로 elasticsearch 버전 8.6.0 Install Docker Network 생성 elastic search 실행 elastic search 비밀번호 초기화 elastic search 인증서 로컬로 복제
ElasticSearch란 검색에 최적화 되어있는 광범위한 개방형 검색 플래폼이며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HTTP의 JSON 인터페이스를 지원해줍니다. Elasticsearch 용도 ElasticSearch는 검색 엔진이며 로그분석, 이벤트 분석, 성능 분석등
큰 서비스는 분산된 많은 마이크로 서비스가 존재합니다.고객은 마이크로 서비스에 대해 너무 많은 통신이 필요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간의 결합도가 매우 높아집니다.또한 권한 처리와 같은 보안 이슈를 비롯하여 장애 처리, 로깅, 모니터링, 캐싱 처리가 비효율적일 수 밖에
데이터를 모아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스케쥴이나 이벤트에 맞춰 실행됩니다. (트리거)배치 서비스는 크게 3단계로 나뉘어져 있습니다.Read : 데이터를 파일, 데이터베이스, 메세지로부터 읽어옵니다.Processing : 읽은 데이터를 비즈니스 로직에 의해 처리합니다.Wr
CI(Continuous Integration) & CD(Continuous Delivery) 플래폼깃 이벤트 기반의 명령을 실행해주는 기능빌드, 배포, 테스트 자동화워크 플로우 생성저장소에 포함되는 자동화된 처리자동화된 처리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잡을 설정자신
docker로 Grafana image를 받고 Mysql과 연동 실습을 하고 있었습니다.Grafana Install처음 접속시 username과 password는 기본 값으로 admin/admin 입니다.좌측 하단 Data sources에 들어가서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해
먼저 slack에 로그인 한 뒤 워크스페이스를 만들어줍니다.만들어준 워크스페이스를 열어줍니다.채널 추가를 눌러서 채널을 만들어줍니다.저는 Slack Api Home Page에 들어가줍니다.create an app을 눌러서 app을 만들어줍니다.From scratch를
동기(Synchronous)방식의 프로그램에서 작업의 실행 흐름은 순차적으로 동작합니다.순차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코드를 파악하기 쉽고 결과를 예측하기 쉬우므로 디버깅이 쉽습니다.특정 작업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비동기(As
자바에서 코틀린 프로퍼티를 호출할때 Getter, Setter를 사용합니다.Kotlin Student ClassJava에서 Kotlin Class의 Getter, Setter 사용val로 선언한 프로퍼티는 불변이기 때문에 Setter가 존재할 수 없고 Getter만 존
코틀린은 자바의 try-catch-resources 구문을 제공하지 않지만 use라는 확장 함수를 제공합니다.코틀린은 try-catch를 통한 예외처리 이외에도 함수형 스타일의 Result 패턴을 구현한 runCatching 을 제공합니다.Result 패턴이란 함수가
코틀린의 표준 라이브러리에는 객체의 컨텍스트 내에서 코드 블록을 실행하기 위해서만 존재하는 몇가지 함수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스코프 함수라고 부릅니다.스코프 함수를 제대로 사용하면 불필요한 변수 선언이 없어지며 코드를 더 간결하고 읽기 쉽게 만들어줍니다.스코프 함수의
코틀린은 클래스를 상속하거나 데코레이터 패턴과 같은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지 않고도 클래스를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수정할 수 없는 코틀린의 표준 라이브러리에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확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확장 함수 내부의 this는 확
코틀린 표준 라이브러리는 기본 컬렉션 타입인 List, Set, Map을 제공합니다.또한 컬렉션은 두가지 종류로 나뉩니다.불변 컬렉션(Immutable) : 읽기 전용 컬렉션가변 컬렉션(Mutable) : 삽입, 수정, 삭제와 같은 쓰기 작업이 가능한 컬렉션 컬렉션을
코틀린은 상속을 막기 위해 기본적으로 final class로 선언이 되었습니다.그럼에도 상속을 해야한다면 ope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면 상속이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코틀린의 모든 예외 클래스는 최상위 예외 클래스인 Throwable 을 상속한다Error : 시스템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이며 예측이 어렵고 기본적으로 복구가 불가능합니다.e.g. OutOfMemoryError, StackOverflowError, etcEx
자바를 포함한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예외 유형이 바로 NullPointerException 줄여서 NPE 라고도 부릅니다.null을 발명한 토니호어는 null을 발명한 후 수십년간 수십억 달러의 시스템 오류와 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1조원짜리 실
코틀린에서 문법은 자바와 정말 많이 유사합니다.일단 코틀린에서는 변수를 선언 할 때 val과 var로 선언을 합니다.val = valueval로 선언을 하면 상수로 선언을 하는것이며 값이 변경 될 수 없습니다.var = variablevar로 선언을 하면 변수로 선언을
한 지역에 서버를 두고 서비스하면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latency 문제가 있음여러 지역에 서버를 두면 데이터 일관성에 문제가 있음Redis EnterpriseEnterprise급 기능을 제공하는 유료 제품Redis Labs에 의해 제공됨on-premise와 clou
시스템을 독립적인 단위의 작은 서비스들로 분리(크기보다는 독립성이 중요)독립적인 단위: 다른 서비스와 다른 이유로 변경되고, 다른 속도로 변경되는 단위각 서비스들이 사용하는 DB도 분리각 서비스들은 API(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통신(다른 서비스의 DB 접근 불가)기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