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모델의 전체 흐름, 웹 접속시 발생하는 캡슐화와 역캡슐화
Lesson 32. 랜 카드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네트워크의 구성
- OSI 모델
: 응용 계층(세션+표현) -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 전송 계층 -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
: 네트워크 계층 -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
: 데이터 링크 계층 - 랜에서 데이터 송수신
: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
- 3way 핸드셰이크 이후, 데이터를 요청하는 HTTP 메시지가 온다
- 전송 계층에서 TCP 헤더(출발지 포트 번호와 목적지 포트 번호 포함)가 붙은 세그먼트 생성
- 네트워크 계층에서 IP 헤더(출발지 IP 주소와 목적지 IP 주소)가 붙은 IP 패킷 생성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이더넷 헤더(출발지 MAC 주소와 목적지 MAC 주소)가 붙은 이더넷 프레임 생성
- 물리 계층에서 이더넷 프레임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네트워크로 전송
- 역캡슐화 과정
: 캡슐화 과정과 반대로 진행 - 붙은 헤더들이 차례로 떨어지고 데이터만 남는다.
Lesson 33. 스위치와 라우터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이더넷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와 자신의 MAC 주소 비교
- 비교 후 같으면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 분리 (역캡슐화)
- 네트워크 계층에 전달 후 라우팅 테이블과 목적지 IP 주소 비교
- 목적지 IP 주소를 체크한 후 라우팅 수행
-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전달해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 붙이기 (라우터에 전달되도록)
- 물리 계층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네트워크로 전송 (라우터1 -> 라우터2)
- 수신 라우터에서 이더넷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와 자신의 MAC 주소 비교
- 주소 같으면 역캡슐화 수행 후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 라우팅 테이블과 목적지 IP 주소 비교
- 라우팅 수행 후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 붙이기 (스위치에 전달되도록)
- 물리 계층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네트워크로 전송 (라우터2 -> 스위치2)
- 스위치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웹 서버에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전달
Lesson 34. 웹 서버에서의 데이터 전달과 처리
- 물리 계층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수신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이더넷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와 자신의 MAC 주소 비교
- 비교 후 같으면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 분리 (역캡슐화)
- 네트워크 계층에서 목적지 IP 주소와 웹 서버의 IP 주소 같은지 확인
- 같으면 IP 헤더 분리 후 전송 계층으로 전송
- 전송 계층에서 목적지 포트 번호 확인 - 전달할 애플리케이션 확인 후 TCP헤더 분리, 응용 계층에 전달
- 응용 계층에 도착!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
동적 라우팅과 정적 라우팅
1. 정적 라우팅
: 관리자가 미리 라우팅 테이블에 경로를 수동으로 추가
: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고정되어 있거나,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하나로 한정될 경우 사용
2. 동적 라우팅
: 네트워크 변경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 &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라우터끼리 정보 교환 후 최적의 경로로 전환
: 관리자가 수동으로 추가할 필요 X
: 라우터에 많은 경로가 등록되어야 하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