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알고리즘_간단한 식 계산하기(를 열심히 썼는데 글이 날라갔다)

돌리의 하루·2023년 9월 23일
0

흑흑.........30분 동안 열심히 코드 해석하고 쓴 글이 날라갔다........

심지어 벨로그는 상시로 임시저장을 해주는걸로 알고있는데도 설마설마 하며 임시글 목록에 들어가봤는데도 흔적도 없다.........ㅠㅠ

구조 분해 할당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코드마다 주석 붙여가며 열심히 글 썼는데..... 출간하기 눌렀더니 갑자기 출간이 안된다고 써져서 혹시,,,,,,? 하고 뒤로가기 버튼 눌렀더니 모두 삭~제 되어버렸다...........ㅠ____ㅠ

괜찮을거야.. 글은 날라갔어도 내 머리에 다 들어있으니까...^^ (괜찮은거 맞니..?) ((아니))

그래서 오늘은 간단하게 문제와 내 풀이만 남겨보도록 하겠다...^_ㅠ...

문제

문자열 binomial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binomial은 "a op b" 형태의 이항식이고 a와 b는 음이 아닌 정수, op는 '+', '-', '*' 중 하나입니다. 주어진 식을 계산한 정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 제한사항
    0 ≤ a, b ≤ 40,000
    0을 제외하고 a, b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 입출력 예
    binomial result
    "43 + 12" 55
    "0 - 7777" -7777
    "40000 * 40000" 1600000000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binomial) {
const [a,op,b] =  binomial.split(' ')
const el = {
    '+' : (a,b) => a+b,
    '-' : (a,b) => a-b,
    '*' : (a,b) => a*b
}
return el[op](Number(a), Number(b))
}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binomial이라는 매개변수 하나만 있기 때문에, 구조분해 할당으로 binomial을 split(' ')으로 단어마다 분해하고,
키값이 문자열로 들어가있고 키값은 함수값으로 되어있는 el이라는 객체를 만든 후 반환해주는 모습이다!!

따흑흑...오늘 블로깅 끄읏!!!!!!!!😭

profile
진화중인 돌리입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