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_전국 대회 선발 고사

돌리의 하루·2023년 10월 5일
0

🍊문제 설명

0번부터 n - 1번까지 n명의 학생 중 3명을 선발하는 전국 대회 선발 고사를 보았습니다.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해야 하지만, 개인 사정으로 전국 대회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어 참여가 가능한 학생 중 등수가 높은 3명을 선발하기로 했습니다.

각 학생들의 선발 고사 등수를 담은 정수 배열 rank와 전국 대회 참여 가능 여부가 담긴 boolean 배열 attendance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전국 대회에 선발된 학생 번호들을 등수가 높은 순서대로 각각 a, b, c번이라고 할 때 10000 × a + 100 × b + c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3 ≤ rank의 길이 = attendance의 길이 ≤ 100
rank[i]는 i번 학생의 선발 고사 등수를 의미합니다.
rank의 원소는 1부터 n까지의 정수로 모두 서로 다릅니다.
attendance[i]는 i번 학생의 전국 대회 참석 가능 여부를 나타냅니다.
attendance[i]가 true라면 참석 가능, false면 참석 불가능을 의미합니다.
attendance의 원소 중 적어도 3개는 true입니다.

🍥나의풀이

처음의 나의 답은 이렇게 적었다.

실행 결과를 봤을 때 3가지의 예제가 모두 통과되었길래 제출을 눌렀는데,,!!

반만 맞고 반은 틀리게 나왔다.

function solution(rank, attendance) {
    let arr = []
  for(let i =0 ; i < attendance.length; i++){
      if(attendance[i] === true){
          //boolean값이 true인 index를 추출한 배열
          arr.push(i)
      }
  }
  const result = arr.map(i => rank[i]).sort().slice(0,3)
  
    
  const answer = result.map(el => rank.indexOf(el))
 
    return 10000 * answer[0] + 100 * answer[1] + answer[2] 
  
}

이유는...........

안일하게 arr.sort()를 썼기 때문이다.

위 부분에서 ~.sort()를 ~.sort((a,b) => a-b)와 같이 바꿔주면 정답이다!

이해를 돕기위해,

let arr = [10, 2, 1, 5, 40];이 있다고 해보자,

arr.sort()했을때는 // [1, 10, 2, 40, 5]이 나올것이고,
arr.sort((a,b)=> a-b)로 오름차순 정렬했을때 // [1, 2, 5, 10, 40]로 나올것이다.

예제에서는 큰 수가 몇 개 나오지 않아서 통과했기 때문에 안일하게 풀었다,,!

몇 개 풀이를 더 고민해보다가, 아래와 같은 풀이도 새로 정답인 것으로 확인했다.

끝부분만 바꾼건데, map부분을 쓰지 않고 함수를 만든 코드다.

function solution(rank, attendance) {
    let arr = []
  for(let i =0 ; i < attendance.length; i++){
      if(attendance[i]){
          //boolean값이 true인 index를 추출한 배열
          arr.push(rank[i])
      }
  }
    arr.sort((a,b) => a - b)
const answer = (i) => {
    return rank.indexOf(arr[i])
}
  return 10000 * answer(0) + 100 * answer(1) + answer(2);
}

끄 -- 읏 ^__^

profile
진화중인 돌리입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