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장수... 제목은 참 귀엽다^^ㅋ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입니다.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나는 처음에 오름차순으로 배열을 정리하고,
m개씩 자른 배열을 새로 만들었다.
(내림차순으로 했으면 더 편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기왕 하는거 오름차순으로 만들었다. 상관없을것같아서 - splice를 쓸 때 뒤에서 잘라주면 되니까)
const division = (score, m) => {
//divide는 나눈 몫이다. 즉, 배열이 만들어 지는 갯수가 divide의 갯수만큼 만들어진다.
const divide = Math.floor(score.length/m)
const newArray = [];
for(let i = 0; i < divide; i++){
newArray.push(score.splice(-m))
}
return newArray;
}
const result = division(score,m)
result는 배열 안에 3개씩 배열이 나열되어 있다.
이 각각의 배열 안의 최솟값을 구하고, 최솟값 x 배열 안의 원소의 개수
, 그리고 이 배열들의 곱한 값을 합한 전체값을 return 하면된다.
배열 안의 원소의 개수는 문제에서 나와있는 것처럼 m의 값이기 때문에, 매개변수는 result배열, m으로 설정했다. 초깃값은 0으로 설정해줬당!
const multiply = (result, m) => {
return result.reduce((total,cur)=> {
let min = Math.min(...cur)
return total + (min * m)
},0)
}
그래서~ 나의 문제풀이는 아래와 같이 나온다!
function solution(k, m, score) {
score.sort()
const division = (score, m) => {
const divide = Math.floor(score.length/m)
const newArray = [];
for(let i = 0; i < divide; i++){
newArray.push(score.splice(-m))
}
return newArray;
}
const result = division(score,m)
const multiply = (result, m) => {
return result.reduce((total,cur)=> {
let min = Math.min(...cur)
return total + (min * m)
},0)
}
return multiply(result, 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