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 깃헙

김동현·2021년 10월 15일
0

git,github

목록 보기
1/1

깃 (git) 이란?

  • git의 필요성 :
    • 코드가 긴 경우에는 파일의 히스토리를 알고있어야 한다.
    • 처음에 뭘 작성했는지, 중간에 뭘 추가했는지, 변경내역을 알고 있어야 하는데 이럴때 git을 사용하는것이 도움이 된다.
    • 내가 원하는 파일의 변경된 내역을 알 수 있다.
  • text파일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excel, image, song 등 다른 파일의 형식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 git 시스템은 파일을 바이너리 포맷으로 인식
  • 즉, git은 파일의 변경내역을 추적해주는 version control system이고
    github은 파일과 파일내역을 업로드 하는 공간이다.

깃헙 저장소 만들기

  1. github desktop 설치
  2. github 로그인
  3. repo 추가
  4. github desktop에서 repo 연동
  5. vsc에서 연동된 폴더 오픈
  6. 작업

작업한 파일 커밋하기

  1. vsc에서 작업후 저장
  2. github desktop에서 commit to master
  3. push to origin
  4. github에서 확인

branches on git

  • 새 branch를 만들어서 commit을 하면 branch와 master 두가지 버전으로 코딩이 가능하고 합병도 가능하다.

깃헙에서 publishing하기

  • 깃헙에서는 static website 호스팅을 서비스 해준다.
  • static website는 프론트 앤드로만 이루어진 사이트를 의미한다.
  • 단, 브런치 이름을 gh-pages로 해야하고 repo가 public이어야 한다.
  • 사이트 url은 계정/github.io/저장소이다.

.gitignore 파일

  • github desktop에서 파일들을 업로드 할때 .DS_Store라는 파일이 보인다. 내가 따로 만들지 않아도 자동으로 생성되었다.
    이 파일은 맥이나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 낸 보이지않는 임시 파일이다. 이런건 굳이 업로드 할 필요가 없으니 제끼면 된다. 하지만 커밋할때마다 제끼긴 귀찮으니 이럴때 필요한게 .gitignore 파일이다.
  • .gitignore파일은 github에 업로드 할시 제외할 파일들을 정해주는 파일이다.
    예) screenshot 폴더와 .DS_Store 파일을 업로드시 제외하고 싶다면?
    .gitignore 파일에 다음과 같이 적으면 된다.

    /screenshot
    .DS_Store

profile
프론트에_가까운_풀스택_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