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상 서버의 스펙은 144GM Mem, cpu 40 core HD 는 약 6TB(?)로 Dell 서버로 되어있다.
KVM (Kernel-based Virtual Machine)
- 하이퍼 바이저 기반 가상화 : 리눅스 커널을 하이퍼바이저로 전환해서 하드웨어 가상화 기능을 활용 실제 물리 하드웨어를 가상화하여 각 vm이 독립적인 운영체제를 사용 -> vm을 완전히 분리한다.
LXC (Linux Containers)
-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하이퍼바이저 대신 리눅스 커널의 컨테이너 기능(cgroups, 네임스페이스 등을) 활용해 가상환경을 제공 하나의 리눅스 커널을 공유 -> 속도가 빠르다.
클러스터링이 가능하다. 여러 호스트를 클러스터링해서 고가용성 확보
스토리지 통합 관리 ZFS, NFS 같은 스토리지 옵션이 있으며, Ceph과 같은 분산 스토리지와 통합이 가능하다.
이 옵션에 대해서는 제대로 아직 사용해본 적은 없다. 추후 운영하면서 추가 공부가 필요함
백업 및 복원에 대한 간단한 제공
vm에 대한 템플릿 등록 및 간편한 기능 제공
vm 템플릿 설정이 가능하여 해당 vm에 대한 및 여러 클러스터링이 가능하다. -> 이것을 통해서 고가용성 확보가 가능
Proxmox를 설치시 기본 GUI를 제공하는데 8006번 포트로 접속하여, 해당 Proxmox 계정으로 접속하여 간단하게 이용이 가능하다.
vm을 새로 만들 때 vm에 고유한 ID 값을 주는데 자동으로 1씩 늘어나는듯 하다. vm ID는 약 10억개까지 가능하다고 한다.
하드웨어 스펙은 보통 aws Ec2 스펙을 참고했고, 평균적으로 사용하는 템플릿들은 해당 스펙에 맞춰서 저장하였다
CLI 환경
sudo apt install net-tools 사용하여 ifconfig로 확인가능 혹은
ip addr로 확인
각 vm은 운영체제 Debian 환경의 경우 /etc/network에서 ip 설정이 가능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GoZaMgEgrHw - proxmox 설치 전
https://svrforum.com/svr/626324 - 디스크 관련 참조
https://hwanstory.kr/@kim-hwan/posts/Proxmox-Virtual-Private-Network-Configuration - 내부 가상 사설망 구축 및 내부 네트워크 구성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