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v1] 푸드 파이터 대회 - (Javascript)

eeeyooon·2023년 12월 20일
0

문자열 다루기 기본

문제 링크

📩 문제 설명

수웅이는 매달 주어진 음식을 빨리 먹는 푸드 파이트 대회를 개최합니다. 이 대회에서 선수들은 1대 1로 대결하며, 매 대결마다 음식의 종류와 양이 바뀝니다. 대결은 준비된 음식들을 일렬로 배치한 뒤, 한 선수는 제일 왼쪽에 있는 음식부터 오른쪽으로, 다른 선수는 제일 오른쪽에 있는 음식부터 왼쪽으로 순서대로 먹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중앙에는 물을 배치하고, 물을 먼저 먹는 선수가 승리하게 됩니다.

이때, 대회의 공정성을 위해 두 선수가 먹는 음식의 종류와 양이 같아야 하며, 음식을 먹는 순서도 같아야 합니다. 또한, 이번 대회부터는 칼로리가 낮은 음식을 먼저 먹을 수 있게 배치하여 선수들이 음식을 더 잘 먹을 수 있게 하려고 합니다. 이번 대회를 위해 수웅이는 음식을 주문했는데, 대회의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음식을 주문하여 몇 개의 음식은 대회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3가지의 음식이 준비되어 있으며,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1번 음식을 3개, 2번 음식을 4개, 3번 음식을 6개 준비했으며, 물을 편의상 0번 음식이라고 칭한다면, 두 선수는 1번 음식 1개, 2번 음식 2개, 3번 음식 3개씩을 먹게 되므로 음식의 배치는 "1223330333221"이 됩니다. 따라서 1번 음식 1개는 대회에 사용하지 못합니다.

수웅이가 준비한 음식의 양을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나타내는 정수 배열 food가 주어졌을 때, 대회를 위한 음식의 배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food의 길이 ≤ 9
  • 1 ≤ food의 각 원소 ≤ 1,000
  • food에는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음식의 양이 담겨 있습니다.
  • food[i]는 i번 음식의 수입니다.
  • food[0]은 수웅이가 준비한 물의 양이며, 항상 1입니다.
  • 정답의 길이가 3 이상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foodresult
[1, 3, 4, 6]"1223330333221"
[1, 7, 1, 2]"111303111"

제출 답안

function solution(food) {
    let temp = "";
    
    for (let i=1; i<food.length; i++) {
          temp += (i).toString().repeat(~~(food[i]/2));
    }
    
    let answer = temp + "0"+ [...temp].reverse().join("")
    return answer;
}

답안 설명

배치를 보면 0을 기준으로 왼쪽 요소들과 나머지 요소들이 같은 요소들이지만 정반대로 정렬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0의 왼쪽 요소들만 먼저 구하기로 했다.
food 배열의 0번째 인덱스는 항상 물(=0)이므로 0번째 인덱스는 다루지 않고 첫번째 인덱스부터 반복문을 돌렸다. 요소는 항상 요소의 절반의 개수만큼만, 짝수개씩만 배치되므로 요소 나누기 2를 해주었다. 홀수일때를 생각해서 비트연산자를 사용했다. ~~(food[i]/2)
그리고 요소의 절반의 개수만큼 요소가 반복되어 배치되므로 repeat을 사용하였고 그러기 위해 요소를 문자열로 바꾸어주었다.
이렇게 0의 왼쪽 요소들만 먼저 구하고 나서 왼쪽요소들에다가 "0"을 더해주고 왼쪽요소들을 정반대로 뒤집기 위해 "똑같은 배열로 만들고, 뒤집고, 다시 문자열로 바꿔주는 과정"([...temp].reverse().join(""))을 거쳤다.


다른 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food) {
    let res = '';
    for (let i = 1; i < food.length; i++) {
        res += String(i).repeat(Math.floor(food[i]/2));
    }

    return res + '0' + [...res].reverse().join('');
}

나와 똑같은 방식인데 사소하게 toString()이 아닌 String을 썼다든지, ~~가 아닌 Math.floor를 썼다든지의 차이가 있다. Math.floor보다 ~~가 빠르다고 알고 있는데 toString()String의 차이가 정확히 어떤지 체크해봐야겠다.


주요 메서드 String() vs .toString()

문자열로 형변환을 제공하는 기본함수 String().toString()은 기능적으로는 같으나, 차이점이 존재한다. String()null, undefined에 대해서도 잘 동작하는 반면, .toString()은 에러가 발생한다.

  • String() : 어떤 형태든 문자로 형변환
  • .toString() : null, undefined 형변호나시 오류.

따라서 확실히 값이 명시된 경우에는 상관 없지만 null,undefined와 같이 예외인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String()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toString()의 다른 특징

  • number.toString(radix)는 숫자를 2~36진수의 수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 사용한다. radix의 범위는 2~36이며, 값 생략 시 10진수로 변경된다.
    (숫자에 바로 toString을 할 경우 (3).toString()과 같이 괄호로 감싸줘야 한다. JS에서는 숫자 뒤의 "."은 부동 소수점 숫자의 일부로 해석하기 때문이다.

  • 변환한 진수를 다시 숫자로 변경하는 방법은 parseInt(string,radix)이다.


참고

https://ji-musclecode.tistory.com/16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