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유행했던 콜라 문제가 있습니다. 콜라 문제의 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답은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세요.
콜라 빈 병 2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1병을 주는 마트가 있다. 빈 병 20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가?
단, 보유 중인 빈 병이 2개 미만이면, 콜라를 받을 수 없다.
문제를 풀던 상빈이는 콜라 문제의 완벽한 해답을 찾았습니다. 상빈이가 푼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우선 콜라 빈 병 20병을 가져가서 10병을 받습니다. 받은 10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5병을 받습니다. 5병 중 4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2병을 받고, 또 2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1병을 받습니다. 받은 1병과 5병을 받았을 때 남은 1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면 1병을 또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상빈이는 총 10 + 5 + 2 + 1 + 1 = 19병의 콜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문제를 열심히 풀던 상빈이는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생각했습니다. 이 문제는 빈 병
a
개를 가져다주면 콜라b
병을 주는 마트가 있을 때, 빈 병n
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기존 콜라 문제와 마찬가지로, 보유 중인 빈 병이a
개 미만이면, 추가적으로 빈 병을 받을 순 없습니다. 상빈이는 열심히 고심했지만, 일반화된 콜라 문제의 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상빈이를 도와,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세요.
콜라를 받기 위해 마트에 주어야 하는 병 수
a
, 빈 병 a개를 가져다 주면 마트가 주는 콜라 병 수b
,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빈 병의 개수n
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상빈이가 받을 수 있는 콜라의 병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b
< a
≤ n
≤ 1,000,000a | b | n | result |
---|---|---|---|
2 | 1 | 20 | 19 |
3 | 1 | 20 | 9 |
function solution(a, b, n, sumCoke = 0) {
while (n >= a) {
sumCoke += (Math.floor(n / a) * b);
n = n%a + Math.floor(n/a)*b
}
return sumCoke;
}
보유 중인 빈 병이 a개 미만이면 새로운 병을 주지 않으므로, n>=a
를 조건으로 while문을 돌렸다. 그리고 a개 빈병을 가져오면 새로운 콜라를 b만큼 받을 수 있으므로 받을 수 있는 콜라의 개수를 담는 변수인 sumCoke
에다가 (n/a)*b
의 값을 더해주는데, 이 때 n/a
가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Math.floor
를 사용해서 소수점 아래의 값은 버리도 하였다.
그리고 n
은 가지고 있는 빈병의 개수인데 받을 수 있는 빈병에다가 혹시 n/a
가 나누어떨어지지 않았을 경우의 나머지 빈병 수를 더하여 계산하였다. n
이 a
보다 적을 경우 while문이 끝나고 최종적으로 받을 수 있는 빈 병의 값을 리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