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MVC는 나의 MVC와 다르다

Eddy·2022년 5월 11일
47
post-thumbnail

MVC의 다양한 변형

MVC는 널리 쓰이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1970년대 GUI라는 것이 처음 등장했다. GUI 개발의 주역은 제록스 파크의 연구원들이었다. 그 중 하나였던 트라이브 린스케이지는 한 가지 아이디어를 냈다. Model, View, Controller로 소프트웨어를 구조화하자는 것이었다.

MVC는 스몰톡(Smalltalk)으로 처음 구현됐다. 이게 MVC 아키텍처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후 MVC는 오랫동안 널리 퍼져나갔고, 조금씩 변형되고 개선되면서 다양한 의미를 갖게 됐다.

마치 전세계에서 카레를 먹지만, 지역마다 카레의 스타일과 맛이 다른 것처럼 말이다.

MVC도 다양한 스타일과 변형이 존재한다. 특히 iOS의 MVC는 그 중에서도 지역색이 있는 편이다. iOS로 MVC를 처음 배운 나는, 구글링해서 나오는 다른 자료들을 볼 때마다 굉장히 헷갈렸다.

iOS에서는 이걸 MVC라고 부르는데, 저 동네에서는 MVC가 그 MVC가 아니네?

인도 사람이 처음 일본에 가서 '카레'를 시키면, '이게 카레라고?' 하면서 놀라는 느낌이랄까.

그래서 MVC라는 단어에 대해 탐구해봤는데, 혼란스러웠던 누군가에게는 교통정리가 되는 글이었으면 좋겠다.

원조 MVC

이제는 더 이상 스몰톡을 현업에서 쓰지 않겠지만, MVC의 첫 구현은 스몰톡이었다.

당시의 MVC는 이런 구조였다.


(출처: Bart Jacobs)

주로 컨트롤러가 사용자 입력을 담당하고, 모델이 그걸 받아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한다.
뷰는 모델 데이터를 받아와서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을 맡았다.
물론 컨트롤러가 직접 뷰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애플 공식 문서에는 이런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고 있다.

중요한 점은
1) 뷰가 변할 때 반드시 컨트롤러를 거치도록 강제하지 않으며,
2) 뷰와 모델이 서로를 알고 의존한다는 점이다.

이 MVC가 서버 사이드 프레임워크에서 흔히 말하는 MVC이기도 하다.

iOS의 MVC

iOS(MacOS)의 MVC는 원조 MVC에서 파생된 변형 버전이다.

(정확히 말하면, iOS가 등장하기 훠얼씬 전인 9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우리는 iOS에 초점을 맞출 거니까 iOS라고 부르도록 하자.)

애플은 자신들의 MVC가 다소 다르다는 점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여기에 대한 공식 문서가 따로 있을 정도다.

iOS의 MVC를 표현한 그림이다.

사용자 입력이 뷰를 통해 컨트롤러에게 전달된다.
컨트롤러는 모델에게 그걸 전달하고, 모델이 업데이트를 한다.
그 후 모델에서 바뀐 데이터는 '컨트롤러를 통해'서 뷰에 업데이트된다.

iOS의 MVC 구조에서는 '컨트롤러'의 역할이 더 커지고 중요해진다.

이전에 나왔던 그림과 매우 비슷해보인다.

하지만 매우 중요한 차이가 있다.

1) 뷰와 모델은 서로를 전혀 모른다.
2) 뷰와 모델 간의 데이터 흐름은 반드시 '컨트롤러'를 거쳐가야 한다.

이 변형 MVC 구조는 오-랫동안 애플의 UI 프레임워크에서 기본값이자 표준이었다.

어... 그렇구나... 근데... 어쩌라고? 🤔

아직 끝이 아니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보자.

진짜 우리가 무언가를 배울 수 있는 부분은 '왜'에 있다.
애플은 왜 굳이 이런 변형 버전을 기본 아키텍쳐로 선택한 것일까?

재사용하기 좋은 뷰

애플은 이 구조를 만들어놓은 이유가, '재사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기존 MVC에서는 모델과 뷰가 서로에게 의존한다. 하지만 모델과 뷰를 완전히 분리시켜서, 컨트롤러를 통해서만 연결되도록 하면, 뷰와 모델의 결합도가 낮아진다.

모델은 뷰와 관련된 로직을 전혀 알 필요가 없다.
뷰 또한 그냥 컨트롤러가 보내주는 데이터를 받아서 보여주기만 한다. 소극적인 역할로 만든다.

이렇게 소극적(Passive)인 애들로 만들어주면 뭐가 좋은가?
소극적인 애들은 특정한 로직이나 의존성에 대해서 많이 알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언제든지 여러곳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애플의 말에 따르면, 뷰 객체는 OS와 앱의 '룩앤필(Look & Feel)'을 담당한다.
따라서 모습과 행동이 반드시 일관적인 디자인을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뷰는 최대한 커스터마이즈하는 부분(App-spcific)을 줄이고, 많이 재사용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뷰에 특정한 로직이 들어가거나, 모델에게 직접 데이터를 받아오거나 가공하게 된다면? 뷰의 재사용성을 그만큼 떨어진다.

그래서 대부분의 로직(App-specific)은 컨트롤러에게 위임해버린다. 뷰는 그저 일관된 시각적 디자인과 반응을 보여주는 UI만 담당하고, 구체적인 로직들은 모두 컨트롤러에게 준다.

직원과 매니저의 예를 들어볼까? 마치 모든 것을 일일이 지시하는 마이크로 매니저처럼 말이다. 매니저가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일을 결정한다면, 아마 어떤 직원을 갖다놓더라도 상관이 없을 것이다.

직원이 이 팀에서 일하다가 저 팀에서 일해도 상관이 없고, 이직도 문제가 없을 것이다. 다른 회사에 가서도 그냥 시키는 일만 하면 될 테니까. (음... 사람에 비유하니까 뭔가 슬픈데?)

아무튼 UIKit 프레임워크는 대부분 이런 구조로 되어있다.

  • UI 컴포넌트 (UIView)는 어떻게 화면에 그릴지만 담당한다.

  • 셀이 눌리면 어떤 작업을 해야할지, 셀 안에 어떤 텍스트를 넣어야 할지 같은 것들은 Delegate, DataSource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컨트롤러(UIViewController)에게 모두 위임한다.

  • UIKit 프레임워크에서 UIView - UIViewController는 기본적으로 한 쌍을 이루게 되며,
    UIView에 필요한 로직은 대부분 UIViewController에 배치한다.

그렇다면 '컨트롤러'의 재사용성은? 당연하게도 '컨트롤러'의 재사용성은 낮아진다.

앱에 특화된 로직들을 모두 담당해야 하니까. 뷰와 모델을 알고 서로간 데이터 흐름을 중재하는 역할을 전부 하게 되면서 다소 무거워지게 된다.

(모든 걸 다 지시하는 마이크로매니저가 이직을 하기 쉽지 않고, 일이 많은 건 당연하겠지?)

아무튼 덕분에 UITableView, UICollectionView 같은 UI 컴포넌트들은 수백만 개의 iOS 앱에서 재사용된다. 비슷한 '룩앤필'을 내게 된다.

🤔 서버 사이드 MVC는 재사용성이 중요하지 않은 걸까?
여기서 드는 작은 의문. 사실 뷰와 모델의 결합도를 낮추고, 재사용성을 높이는 건 어디서나 다 바람직한 상황 아닌가?
왜 애플만 이런 변형된 MVC를 도입하고, 다른 플랫폼에서는 기존 MVC가 많이 쓰일까?
아마도 GUI와 API의 차이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클라이언트에서 뷰란 시각적인 UI를 의미한다.
서버에서 뷰란 (html/json 파일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API를 의미한다. 따라서 일관된 룩앤필이나 뷰의 재사용성이 그-렇게 중요한 니즈는 아니지 않았을까?

MVP, 또다른 변형 모델의 등장

하지만 원조 MVC의 문제를 iOS만 느낀 건 아니었나보다. 다른 플랫폼에서도 MVC의 변형 버전이 등장한다.

그게 바로 MVP다.

MVP의 시초도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오래전에 없어진) Taligent라는 회사가 있었는데, 이 회사가 1990년대에 처음으로 MVP라는 용어와 개념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당시에 유행은 아니었던 거 같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 .NET과 JAVA 진영에서 도입되어 쓰이기 시작하면서 유명해졌다.

MVP에서는 모델과 뷰를 분리시킨다.
그리고 '프레젠터(Presenter)'가 중재자 역할을 한다.

음...? 이거... 애플이 만든 MVC랑 똑같은 거 아냐?

맞다. 컨트롤러를 프레젠터로 바꿔보면, 사실상 거의 같은 구조다.

애플은 이 변형된 구조를 여전히 MVC라고 불렀고,
다른 플랫폼에서는 변형된 컨트롤러 역할을 프레젠터라고 바꾼뒤에 MVP라고 불렀을 뿐이다.

하지만 중요한 점이 하나 있다.
개념적으로는 동일하다고 봐도 되지만, 구현상에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바로 iOS의 ViewController라는 녀석 때문이다.

iOS MVC의 문제점: 뷰-뷰컨트롤러의 강결합

UIKit 프레임워크에서 ViewController는 앱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UIKit 앱을 생성하면 ViewController의 서브클래스를 만들어서 코딩을 하게 된다.

ViewController 객체는 프레임워크에 의해서 View를 생성하고 사용한다.
이건 프로그래머가 아닌, iOS의 UIKit 프레임워크에서 이미 결정된 구조다.

ViewControllerView를 직접 생성하고 사용하는데다, View 또한 대부분의 로직을 ViewController에게 위임하기까지 하니까, 결합도가 굉장히 높아질 수 밖에 없다.

UIKit을 쓰는 이상, 이 둘의 관계를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굉장히 까다롭다.

이게 더욱더 문제가 되는 지점은 단위 테스팅을 할 때다. ViewController 객체에 담긴 로직은 테스트하기가 어렵다.

뷰와 강하게 결합이 되어있기 때문이다. 화면에 보여지는 데이터를 가공하는 프레젠테이션 로직 같은 것을 떼어내서 테스트하고 결과를 확인하는 게 쉽지가 않다.

그렇다고 아예 ViewController를 없애버리는 것도 쉽지가 않다. 프레임워크에서 의도한 사용방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론상의 iOS MVC는 위에서 봤던 그림일지 몰라도, 실제로는 이렇게 되어버리고 만다.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
개인적으로 이 부분에서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를 실감했다.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는 둘 다 남이 쓴 코드를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이지만, 프로그래머가 코드에 대한 주도권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나뉘게 된다.
흔히 라이브러리에선 프로그래머가 라이브러리를 호출하고, 프레임워크에선 프레임워크가 프로그래머의 코드를 호출한다고 표현한다.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려면 프레임워크가 전제하고 있는 구조와 규칙을 따라야 한다. 이런 점에서 UIKit은 확실히 '프레임워크'라고 할 수 있다.

iOS의 MVP

이런 iOS MVC의 현실적인 한계 때문에, iOS에서 MVP는 일반적인 MVP와도 조금 다르다.

MVP 아키텍처에서 Presenter는 View에게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UIKit 프레임워크에서는 ViewController와 View의 결합을 떼어내는 것도 어렵고, 그렇다고 아예 ViewController를 없애는 것도 어렵다.

😭 어떻게 하지...?

💁‍♂️ 훗. 뭘 그렇게 고민하냐? ViewController를 그냥 View 계층에 속하는 애로 치면 되잖아.

그래서 요즘에 iOS에서 MVP라고 하면, UIView와 UIViewController를 모두 뷰 계층으로 간주한다.

프레젠터는 별도로 존재하며, 아예 UIKit을 알지 못하는 독립적인 객체가 된다.

이렇게 하면 View를 모두 소극적이고 재사용가능하게 유지하면서도, 다른 계층을 View에 전혀 의존하지 않도록 만들 수 있다!

프레젠터가 다루는 View는 쉽게 갈아끼울 수 있다. 덕분에 프레젠터는 테스트하기도 훨씬 쉬워진다.

ViewController는 View다.

이 점 때문에 iOS에서 MVP는 MVC와 분리된다.

MVP나 iOS MVC나 이름만 다르지 같은 거 아니야? 라고 묻는다면, 개념적으로는 맞다.

하지만 iOS의 MVP는 ViewController를 View로 취급한다. 기존의 iOS MVC가 구현하려했던 View의 재사용성 극대화를 달성하고, 다른 객체와 View의 결합도 끊을 수 있다.

어찌보면, iOS MVP는 'View와의 분리를 제대로 구현한 iOS MVC'라고도 할 수 있겠다.

물론 UIKit의 구조를 약간 우회하는 느낌이고 수동으로 구현해야할 것들이 많아진다는 점에서 약간 더 복잡한 구조다.

iOS의 MVVM

MVVM은 iOS 플랫폼에서 인기있는 아키텍처다.

iOS의 MVVM도, 결국 MVP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MVP와 같은 이유로 ViewController를 View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MVP의 프레젠터가, MVVM에서는 뷰 모델(ViewModel)로 바뀌었다. 하지만 ViewModel과 View를 '바인딩'해서 모델의 상태 변화를 화면에 출력한다는 게 큰 차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또 하나의 글이 필요할 것 같으니, 나중에 다시 깊게 알아보도록 하자.

여기서 SwiftUI도 언급하고 넘어가야겠다.

iOS의 UI 프레임워크는 오랫동안 UIKit이었지만, 2019년 애플에서 SwiftUI를 발표하면서, 최근 SwiftUI가 빠르게 떠오르고 있다.

UIKit의 MVP, MVVM은 비록 가능하지만 뭔가 깔끔하지 않게 느껴진다. 컨트롤러가 떡하니 View에 버티고 있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SwiftUI에서는 ViewController를 강제하는 구조가 사라졌다. SwiftUI는 기본적으로 State를 받아서 화면을 그리는 하나의 함수 형태다. 기본적으로 특정 State를 View에 바인딩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프레임워크 단에서 MVVM 구조를 의도하고 있고, 구현하기에 더 적합하다. 하지만 나도 SwiftUI는 많이 다뤄보지 않아서, 이것도 나중에 다시 알아보도록 하자.

요약 정리

  • 애플은 전통적 MVC에서 변형된 구조를 UI 프레임워크에 적용했다. 뷰의 재사용성을 극대화하고, 뷰와 모델의 결합을 끊기 위해서였다.
  • 동시에 다른 진영에서는 비슷한 의도로 MVP가 등장했다. 개념적으로는 iOS MVC와 같다.
  • 하지만 UIKit 프레임워크의 MVC에선 View와 ViewController 간의 결합이 너무 강했다.
  • iOS MVP는 ViewController를 View로 취급한다. View에 독립적인 Presenter 계층을 만든다.
  • iOS MVVM도 마찬가지다.
  • iOS에서 MVP, MVVM을 얘기할 때는 이런 점을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profile
개발 지식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보자. ▶️ www.youtube.com/@simple-eddy

4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2년 5월 12일

글 잘 읽었습니다.
멋진 표현인데요. ^^
"마치 전세계에서 카레를 먹지만, 지역마다 카레의 스타일과 맛이 다른 것처럼 말이다."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7월 18일

아이들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Geometry Dash 사회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곳입니다.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11월 12일

안녕하세요. 글 잘 읽었습니다!!

한가지 궁금한 점은 첫번째 원조 MVC 패턴은 원조가 맞기는 하지만 Django나 Ruby on rails, Spring 등에서 말하는 MVC는 오히려 Model과 View가 독립적인 것 같아서 "서버 사이드 프레임워크에서 흔히 말하는 MVC"라고 말하기는 좀 어렵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혹시 해당 부분에 대해서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셨는지 설명해주시면 공부할 때 큰 참고가 될 것 같습니다!

다시 한 번 글 잘 읽었습니다 ㅎㅎ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