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명 블록과 달리 함수와 프로시저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고 컴파일되므로 언제든지 재사용이 가능하다.결과13000최상위당연히 반복문이다모듈러 함수를 구현한다create or replace function을 통해 함수를 만들고 실행한다declare 아래 선언부, beg

함수는 특정 연산을 수행한 뒤 결과 값을 반환하지만 프로시저는 특정한 로직을 처리하기만하고 결과 값을 반환하지 않는 서브프로그램이다.일반적으로 프로젝트 현장에서 시스템 설계가 끝난 후 업무를 분할하고 이 분할한 업무 단위로 로직을 구현해야 하는데, 개별적인 단위 업무를

다음은 구구단을 출력하는 익명 블록이다. 이 블록을 실행해 보고 결과가 왜 그렇게 나왔는지 설명해 보자.결과값SQL 함수 중 INITCAP이라는 함수가 있다. 이 함수는 매개변수로 전달한 문자열에서 앞 글자만 대문자로 변환한다. INITCAP과 똑같이 동작하는 my_i

부서 테이블의 복사본 테이블을 다음과 같이 만들어 보자.입력위 테이블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하는 프로시저를 my_dept_manage_proc라는 이름으로 만들어보자.❶ 매개변수: 부서번호, 부서명, 상위부서번호, 동작 flag❷ 동작 flag 매개변수 값은

PL/SQL 코드를 작성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문법오류(컴파일 오류)키워드 이름, 객체, 프로시저, 함수 등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오류런타임 오류컴파일 시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실행을 시킬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예외처리를 통해 제어해야 함.CASE문과 유사한 구조아

Debugging 1. 브레이크 포인트를 걸어준다 2. 해당 프로시저의 디버그를 위한 컴파일 모드를 활성화 시킨다. 3. PROCEDURE를 begin, end으로 감싸준다 
프로시저를 사용하다보면 데이터를 하나의 로우씩 처리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커서를 사용하면 여러개의 로우를 처리할 수 있다.커서는 sql문장을 처리한 결과, private sql이라는 메모리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터이다커서를 이용하면 처리된 sql문장의 결과 집

패키지란 논리적 연관성이 있는 PL/SQL 타입, 변수, 상수, 서브 프로그램, 예외 등의 항목을 묶어 놓은 객체클래스의 개념과 같다패키지는 컴파일 과정 후에 DB에 저장됨다른 프로그램 패키지나 프로시저 항목을 참조, 공유, 실행할 수 있음모듈화 가능여러 프로그램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