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Git과 Github의 사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Github에 올라온 다른 코드를 가져오려면 우선 그 github 페이지에서 fork로 자기 repository로 가져온 후 code라고 적힌 초록 버튼을 눌러서 거기서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거나, url을 복사해서 ubuntu terminal이나 git bash로 다운 받을 폴더로 이동 후 git clone url을 입력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git status : 상태를 봅니다. repository의 코드에서부터의 변경 횟수(커밋 횟수), add하고 commit하지 않은(not staged for commit) 변경점이 있는 문서들, add된 후 커밋을 기다리는 것들을 알려줍니다.
git add filename : filename에 해당하는 파일을 commit 되기 전 상태인 stage에 올립니다.
git commit : commit. -m "message" 를 추가하면 메시지와 함께 커밋할 수 있고, -a를 붙이면 add와 동시에 커밋합니다.
git diff : 여태까지 커밋한 것과 현재 상태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git push : 커밋한 내용을 github에 올립니다. (git push 저장소명 브랜치명) -u 옵션을 붙이면 다음부터 저장소명과 브랜치명을 입력하지 않아도 -u옵션을 붙였을 때 같이 입력한 곳에 push됩니다.
git remote : 저장소 이름을 가져옵니다.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