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습 1
for x in range(0, 10) : # range(10) 도 가능
print(x, end=' ')
print()
for x in range(0, 51, 5): # 0부터 50까지 5칸 간격으로 출력
print(x, end=' ')
print()
for x in range(10, 0, -1): # 10부터 1까지 거꾸로 출력
print(x, end=' ')
print()
# 실습 2
score = []
for i in range(5):
data = int(input('성적을 입력하시오 : '))
score.append(data)
print('입력한 성적들 :', score)
# max, min, sum, len
print('최고 성적 :', max(score))
print('최저 성적 :', min(score))
average = sum(score) / len(score)
print('평균 : %.2f' % average)
# 실습 3
score = {1:[80, 90, 86], 2:[78, 88, 85], 3:[85, 85, 92], 4:[70, 69, 65], 5:[90, 95, 100]}
for key, value in score.items():
print(key, '번 : %.2f' % (sum(value) / len(value)))
군집자료형에 유용한 함수들
sorted() 함수는 실행했을 때만 정렬이 되고 원래 객체는 변하지 않는다.
reversed 함수 - 군집자료형 데이터를 역순으로 바꾼다.
실제로 넘어가는 데이터를 인수(arguments)라 하고 그 데이터를 받는 공간을 매개변수(parameter)라 한다.
인수, 반환값이 없는 함수
인수가 여러 개인 함수 ( 인수 개수만큼 parameter 필요함)
global 선언
전역 변수를 함수 내에서 바꾸고자 하면, global 선언이 필요함
함수에서 만든 지역 변수를 전역 변수로 사용하고자 하면 global 선언이 필요함
함수 매개변수는 지역 변수이다.
mutable 객체가 인수인 경우 (리스트, 집합, 사전)
기본값(default value)이 있는 인수
함수를 정의할 때 인수의 기본값 사용시 주의점
키워드 인수
함수 호출 시에 인수 이름(매개변수)과 값을 같이 전달하기
키워드 인수의 위치는 일반 인수 이후이다.
가변 인수 사용하기
가변인수도 항상 맨 마지막에 적어주어야 한다.
정의되지 않은 키워드 인수 처리하기
map 함수의 결과는 list로 바꿔야 볼 수 있다.
파이썬 구성 요소
모듈 (module)
모듈은 반드시 import 후에 사용할 수 있다.
모듈 import 방법
import <모듈>
from <모듈> import <함수명>
import <모듈> as <alias>
임의의 정수 생성 (randint())
임의의 정수 생성 (randrange())
임의의 정수 여러개 생성
임의의 실수 생성 (random(), uniform())
리스트에 random 모듈 이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