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을 하다보면 종종 랜덤한 숫자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첫번째로 Math.random()을 사용해
0~배열의 길이 미만의 정수를 마치 공식처럼 구현할 수 있다.
const getRandomNumber = (length) => {
return parseInt(Math.random() * length) }
*Math.random()은 0~1 중의 소수를 포함한 랜덤한 숫자를 반환한다. (ex. 0.43121)
*length가 3이라고 할때 Math.random()의 숫자와 length를 곱하면 대략 0.0003 ~ 2.997를 반환하고,
*parseInt가 소수점을 다 잘라내고 정수 부분만 반환하게 해준다.
*즉, getRandomNumber가 반환하는 값은 0~2 사이의 정수가 되고, 이는 0부터 배열의 길이 미만의 정수가 된다.
위 함수 표현식은 마치 공식처럼 length 부분에만 배열의 길이 뿐만 아니라
원하는 반환 값의 최대 정수만 넣어주면 되니 외워서 필요할때 쓰면 좋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