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객쳬를 일급 객체라 한다.일급 객체의 조건 1\. 무명의 리터럴로 생성할 수있다. 즉, 런타임에 생성이 가능하다.2\. 변수나 자료구조(객체, 배열등)에 저장할수 있다.3\. 함수의 매개변수에 전달할수 있다.4\. 함수의 반환값으로 사용할수
생성자 함수를 사용해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을 알아보자.그리고 객체 리터럴, 생성자 함수의 장단점을 알아보자. new 연산자와 함께 Object 생성자 함수를 호출하면 빈 객체를 생성하여 반환한다.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객체를 인스턴스라 한다. JS는 Object외에
내부 슬롯과 내부 메서드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구현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ECMAScript 사양에서 사용하는 의사 프로퍼티와 의사 메서드다.ECMAScript 사양에 등장하는 이중 대괄호 (\[\[ ... ]])로 감싼 이름들이 내부 슬롯과 내부 메서드다.내부 슬
ES5까지는 변수를 선언 하는 유일한 방법이 var키워드 뿐이었다.var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var로 중복 선언하는 경우, 초기화문의 유무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 초기화문이 있다면, JS엔진에 의해 var
전역 변수의 무분별한 사용은 위험하다. 반드시 필요할 때만 사용해야하며, 그 외에는 지역변수를 사용해야한다.변수는 생성되고 소멸되는 생명 주기가 있다.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와 같다. 하지만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는 함수가 호출, 생성
모든 식별자(변수 이름, 함수 이름, 클쾌스 이름 등)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 이를 스코프라한다. 즉,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를 말한다.위와 같은 코드가 있을 때, JS 엔진은 이름이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는 일련의 과정을 문(statement)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이다함수는 입력을 받아서 출력을 내보낸다. 이때 함수 내부로 입력을 전달받는 변수를 매개 변수(parameter), 입력을 인수(argument
객쳬는 프로퍼티의 개수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동적으로 추가되고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프로퍼티의 값에 도 제약이 없다. 따라서 객쳬는 원시 값과 같이 확보해야 할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사전에 정해 둘 수 없다. 객체는 복합적인 자료구조이므로 객쳬를 관리하는 방식이 원시
자바스크립트는 객체(object)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다. 원시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값(함수, 배열, 정규 표현식 등은 모두 객체다.원시 타입은 단 하나의 값만 나타내지만, 객체 타입은 다양한 타입의 값을 하나의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명시적 타입 변환(explicit coercion) 또는 타입 캐스팅(type casting)이라 한다.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 변환되기도 한다.
vscode 버전이 올라가면서 익스텐션과 충돌이 생겼다고 한다.지금으로썬 유일한 해결 방법은 vscode 버전을 낮추는 것https://code.visualstudio.com/updates/v1_76위 링크를 통해 1.76 버전으로 재다운로드 하니 해결되었다.
useState의 비동기적 성질 때문에 이틀 동안 삽질했다.useState가 비동기적으로 실행되어 바로 그 값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는 걸 알고는 있었는데, 왜 굳이 state를 쓰려고 고집했는지.... 그냥 일반 변수를 하나 선언해서 배열을 완성시킨 다음마지막에만
8.1 블록문 8.2 조건문 8.2.1 if-else 문 8.2.2 switch 문 8.3 반복문 반복문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 8.3.1 for 문 8.3.2 while 문 8.3.3 do-while 문 8.4 break 문 8.5 continue 문
연산자 :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피연산자 : 연산의 대상,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연산자 표현식 :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조합,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
6.1 숫자 타입 6.2 문자열 타입 6.3 템플릿 리터럴 6.4 불리언 타입 6.5 undefined 타입 6.7 심벌 타입 6.8 객체 타입 6.9 데이터 타입의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