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할 디렉토리에서 git init 명령 입력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숨김파일 포함)을 자세히 표시하는 ls -al 명령으로 .git이 생겼는지 확인한다.
touch 파일 명령으로 작업할 파일을 생성한다.
git add 명령으로 버전이 될 후보 파일을 스테이지에 올린다.
git status 로 확인해본다.
git commit -m "커밋메시지"로 로컬 저장소에 메시지와 함께 커밋한다.
github라는 원격 저장소에 작업한 디렉토리를 올릴 레퍼지토리를 하나 생성한다.
레퍼지토리 링크를 복사한다.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링크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origin main
명령으로 원격 저장소에 생성한 레퍼지토리에 푸시한다.
git log 명령으로 확인해본다.
오늘 내일배움캠프 본과정 개강일이라 발제듣고 편성된 팀에서 팀원들과 미니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하느라 하루가 정신없이 지나갔다.
웹개발 종합반 강의를 들으면서 따라해볼 때는 그럭저럭 할만하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프로젝트를 시작해보니 생각보다 와이어프레임을 어떤 구성으로 짜야할지, 역할분담은 어떻게 해야할지 결정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던 것 같다. 일단 백엔드와 db 파트를 담당해서 메인 페이지에서 팀원들의 사진을 각각 클릭하면 해당 팀원 사진의 id 정보(?)를 바탕으로 상세 페이지에 넘어갈 때 해당 팀원에 대한 상세정보를 DB로부터 읽어와 페이지에 뿌려주는 기능을 구현해야한다. 처음 구현해보는 기능이라 머리는 뒤죽박죽되고 생각보다 어려운 것 같다. 일단 너무 늦었으니 정리하고 내일 배웠던 것들을 토대로 차분하게 구현해보아야겠다. git도 좀 익히면서 오늘 배웠던 각각의 세부적인 의미들을 시간이 날 때 다시 복습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