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데미, 스나이퍼팩토리,10주완성 프로젝트 캠프, 프론트엔드(리액트/react) 1일차 학습 일지 - 오티 , 서비스기획 (1) 강의 후기

YoungWook·2023년 6월 6일
0

KOSA에서 약 8개월 정도 교육을 들은 후 프론트엔드에 흥미가 생겨 공부를 좀 더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혼자하던 도중.. 네이버 메일에 프론트엔드 부트캠프가 개설된다는 메일이 있어 바로 신청하게 되었다. 코테까지 보길래 들어가기 어려우려나 했지만 며칠 후에 합격 문자가 와버렸네 기분 째진당 ㅋ
팀 프로젝트 경험과 협업 능력이 많이 필요해서 나에게는 매우매우 좋은 기회인 것 같다.

1. 오리엔테이션

2023.06.05

오전에는 오리엔테이션을 했다.
문자에 ZEP이라는 곳에 들어오라 해서 ZOOM이 아니고 이건 또 모지..? 하고 들어갔다.

게더타운이랑 비슷한 메타버스 같은데 뭔가 그래픽이 좀 더 좋은 느낌...?
운영진분들 소개를 하고 슬랙, 노션에 초대 받았다.

일정은
역량강화 교육(6주): 6월 5일~ 7월 14일 월,수,금 9:00 ~ 18:00 진행
프로젝트 코스(4주): 7월 17일 ~ 8월 11일 (월~금 팀원끼리 진행)
이렇게 진행된다.

수강생이 약 100명이라서 질문 폭탄일 것 같았는데 생각보다 초대 받은 노션 안에 설명이 엄청 체계적으로 되어있어서 질문이 거의 없었다

유데미 강의를 내 유데미 계정에 넣어준다 하셨는데 기대된다.. 어떤 강의일까 공짜강의 기분 째진당

한 팀 당 4명 전체 27팀이다. 나는 16팀 팀장이 되었다 가위바위보 다 짐.. 이럴거면 그냥 내가한다 할 걸 하남자 같았네ㅋ

팀 프로젝트 할 때 만나서 해야 하는 게 걱정되었는데 3명은 같은 동네이고 1명은 옆 동네여서 걱정 하나가 없어진 것 같아서 좋았다. 운영진 분들이 지역으로 나누어서 팀을 짜주신 것 같았다 👍

암튼 오전은 이렇게 끝이났다..

2. 서비스 기획 (1)

▷ 플랫폼 구축을 위한 사고와 습관

플랫폼이란 ?

  • 인간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교류의 정류장 역할
  • 교류 속에 이뤄지는 다양한 소통, 거래를 통해 발생하는 트래픽을 기준으로 기업과 개인이 공동의 이익을 형성하는 곳.

플랫폼의 진화

  • 플랫폼은 Device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정보의 소유 → 정보의 교류 → 맞춤형 정보
  • 빅데이터의 출현 !
  • 관계/수단 → 개인화 → 프로세스화 → 자동화 ( 진위여부 판단만 인간의 영역으로 존재 )
  • (화면 중심 ) > (빅테이터) > (가치중심) > ( 총체적 경험 )

플랫폼 서비스 제공 환경

소비자의 정보를 모르는 시대 → 소비자의 개인 정보만 아는 시대 → 소비자의 행동을 이해하는 시대 → 소비자의 질문을 이해하는 시대

플랫폼의 핵심은 무엇인가 ?

  • 인간 세상에서 플랫폼이 나온다.
  • 관계 , 수단 , 플랫폼
  • 오프라인에서 사람들이 어떤 행동패턴을 하는지 인지 하는 것도 중요하다.

플랫폼 설계의 시작은 어떻게 할까 ?

  • 먼저 우리가 경험상 상상의 키워드를 그려봐야한다.
  • Flow chart로 흐름을 정리해본다.
  • 키워드 별로 정의를 하고 기록하다 보면 플랫폼이 나온다.
  • 가장 중요한 핵심 업무부터 정의를 해야한다.

Flow chart

3. 수업 후기

처음 10분 정도 수업을 들을 때는 엥 프론트엔드랑 무슨 관련이 있지.. 생각했지만 들을수록 정말 유익한 수업이었다.

마인드맵으로 아이디어에 관한 플로우 차트로 만들어보라고 하셨다.

예전에 프로젝트를 하면서 하다가 테스트하면서 '아 이것도 있었네 해야겠다. 아 저것도 해야겠다.' 이런 식으로 했었는데, 프로젝트를 하기 전에 내가 무엇을 만들 것이며, 왜 만들려는 건지, 어떻게 만들 건지, 그게 시대에 맞는 건지, 생각하고 먼저 기획을 해보는게 정말 중요하다고 느꼈다.

본 후기는 유데미-스나이퍼팩토리 10주 완성 프로젝트캠프 학습 일지 후기로 작성 되었습니다.

profile
영차 조와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