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다녔던 회사에서는 도커라이징 할 때 Dockerfile을 작성하고, 소스 코드를 빌드한 다음 kaniko를 통해 이미지를 빌드하고 푸시했습니다. 현재 재직 중인 회사에서는 buildpack으로 CI/CD 작업을 간소화해서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
Github Action 테스트의 경우 간단하게 Docker 테스트 이미지를 만들어서 workflow를 작성하는 것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application.yaml에 datasource는 물론이고 아래와 같이 로그 레벨을 설정해 주고 앱을 실행해 주면 HikariCP 옵션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백엔드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커넥션풀 문제로 셧다운이 자주 발생한다면 애플리케이션 상황에 맞게 커넥션풀 옵션
https://stackoverflow.com/a/69586941/17858112개발을 할 때 조건문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Terraform에서는 if-else의 경우만 쓸 수 있도록 제공해 주는 것 같습니다. elseif처럼, 그밖에 다른 조건을 추가하고
Spring Boot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검사를 위해서 spring-boot-starter-actuator 의존성을 추가하고 /actuator/health 경로로 요청을 보내게 된다./actuator/health는 단순히 애플리케이션 상태만 검사하는게 아니라 애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