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동역학

조환영·2023년 5월 9일
0

Control

목록 보기
2/2
post-thumbnail

[5주차]

TIL

차량 모델 - 종방향 모델

  • 등판 성능 (Dynamic Axle Load)

  • 가속 성능 (Acceleration)

  • 제동 성능 (Braking)

  • 주행 저항 (Driving Resistance)

차량 모델 - 횡방향 모델

  • 저속 선회 (Kinematic bicycle model)

  • 배경 지식 (비관성좌표계, 클로소이드 도로모델, 최소제곱해 (fitting), Tire force)

  • (정상상태) 고속 선회 (Dynamic bicycle model - tire slip angle 존재)

차량 제어

  • 종방향 제어 (ACC: Speed control, Spacing control)

  • 횡방향 제어 (Error term dynamic model, Pure pursuite, Stanley method)


5주차 skill set

1) Longitudinal Vehicle Modeling
2) Lateral Vehicle Dynamics
3) Vehicle Control (longitudinal & lateral)


학습내용

[1] Longitudinal Vehicle model

1. Dynamic Axle Load

  • 이 모델은 longitudinal model에서 가속 및 제동 성능을 표현하고 이해하는데 사용된다.

2. Acceleration

  • Traction Force의 첫 번째 항은 "(엔진토크) x (기어비) x (기계적효율) / 타이어 반경" 이다.

    • 타이어가 작을수록, 엔진 토크와 기어비가 클 수록 차량의 추진력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두 번째 항은 동력 전달 과정에서 회전 관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동력 손실이다.

    •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각 요소별 질량을 줄이는 등 회전 관성을 최소화 해야하지만, 쉽지 않다.
    • 여기서 타이어의 반지름이 제곱 항으로 들어가 있어, 타이어가 너무 작으면 오히려 추진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Traction Force는 당연히 타이어의 마찰력을 넘을 수 없다는 것이다. F_xf <= μW_f , F_xr <= μW_r

  • 이외에 dynamic axle load model 에서 회전 관성을 분리하여 고려했을 때의 유효 질량(Effective mass), 수동 및 자동 변속(MT/AT)에서 Nt에 따른 엔진 최대 출력 곡선 등에 대한 추가적인 내용은 필요하면 학습 하는 걸로~

3. Braking

4. Driving Resistance

  • 주행 저항 파트에서는 수학적 수식을 정리하지 않겠다. (시간이 너무 ... 크흠)

  • 추후 필요하면 공부 할 수 있도록!

1) 구름저항 (Rolloing resistance)

  • 자동차가 수평 노면 위를 굴러갈 때 받는 저항

    • 타이어를 변형시키는 저항

    • 노면을 변형시키는 저항

    • F_n (수직력), e (pneumatic trail)이 클수록, r_dyn (타이어 동하중 반지름) 이 작을수록 구름저항은 커진다.

    • 공기압이 너무 적으면 타이어 동하중 반지름이 작겠지? => 구름저항 크겠지?

2) 공기저항 (Aero resistance)

  • 주행 저항의 주요 요소

  • 공기역학은 항력, 양력, 모멘트(roll, pitch, yaw), 소음에 영향을 미친다.

  • 공기역학은 너무 어렵다.

3) 그 밖에...

  • 기울기저항 (경사면에서 타이어 마찰력으로 인해 결정)

  • 가속저항 (가속시 회전하는 부분의 질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

  • 견인저항 (트레일러?)

등등 있는데 공기저항이 가장 크리티컬한 부분인 것 같다.

[2] Lateral Vehicle model

1. Kinematic Bicycle Model (저속선회 시)

  • 여기서 configuration (X_dot, Y_dot, psi_dot)은 관성 좌표계이다.

  • Kinematic Model은 단순 기하학적 형상을 기반으로 한 모델이기 때문에 간단하다.
    하지만 요구사항이 높은 제어를 하기에는 정확성과 신뢰도가 높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2. Before getting into Dynamic Model

  • Kinematic Model과 달리 복잡하지만 정확하고 요구사항이 높은 제어가 가능한 차량의 Dynamic Model을 이해하기 위해 미리 짚고 넘어가야 할 개념들이 있다.

1) 비관성 좌표계

  • 질점의 운동

    • 관성 좌표계의 속도 및 가속도는 비관성 좌표계의 속도와 위치로 표현된다.
  • 강체의 운동

2) Clothoid & 3th-order Polynomial

  • Clothoid: 도로의 완화곡선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로서 곡선의 길이에 따라 곡률이 변하는 곡선이다.

    • 곡률과 곡선 길이가 비례하다. 즉, 회전 반경과 곡선 길이는 반비례하다.
      (RL=C)

    • 아래 파란색 직선 영역에서 초록색 곡선 영역으로 넘어가는 중간에 위치한 빨간 선이 Clothoid 라고 한다.

    • 곡선을 부드럽게 이어주기 위해 사용된다고 한다.

    • 매개변수를 이용한 표현 식이 있는데 필요하면 찾아보자~

  • 클로소이드라는 차선 모델을 사용하는 건 알겠는데, 클로소이드는 최소 3차식으로 전개된다.
    => 센서로 부터 들어온 데이터로 최적의 차선을 3차 곡선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 최소제곱(Least Square)법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fitting한다.

  • 클로소이드 곡선을 y=C3x^3 + C2x^2 + C1x + C0 의 3차식으로 두었을 때,

    • 1번 미분 dy/dx = theta (Heading of Path) / 2nd-order
    • 2번 미분 d^2y/(dx)^2 = kappa = 1/R (Curverture of Path) / 1st-order
    • 3번 미분 d^3y/(dx)^3 (Cureverture Derivative) / Constant

3) Fitting

4) Tire Force

  • 저속구간이 아닌 실제 주행 시 타이어에 slip이 발생한다.

  • Tire-Slip으로 인해 차량의 body frame 기준 y축으로의 Lateral Force가 발생하고, 이들은 서로 비례한다.

    • F_y = C_alpha x alpha

    • F_y와 slip angle은 Cornering Stiffness라는 비례상수를 취한다.

    • 이 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실험적으로 얻어진다.

  • Magic Formula Tire Model

    • Lateral Force와 Cornering Stiffness의 비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추후 Lateral Dynamic Model을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여기까지 차량의 Dynamic Model을 이해하기 위한 사전 지식을 짧게 알아보았다.

3. State Equation of 2 DOF Bicycle Model

[3] Vehicle Control

1. Longitudinal Control

  • speed control과 spaceing control을 결정하는 maneuver planning 시스템을 설계하는게 어렵다고 한다.

2. Lateral Control

  • Dynamics Model in terms of Errors


<출처>
(1) Programmers K-Digital-Training: 자율주행 데브코스 Planning & Control, 고전제어
(2) Thomas D. Gillespie, Fundamentals of Vehicle Dynamics

profile
자율주행 TIL(Today I Learned)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