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velog.io/images/domini95/post/ea85691a-a891-4d7c-8043-f
최근 오브젝트와 클린아키텍처를 시간이 날 때마다 조금씩 읽고 있다. 신기한 점은 1년 전에 해당 책을 접했을때와 느낌이 전혀 다르다는 점이다. 1년 전의 나는 이제 막 회사에서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를 익히고 있는 신입 모바일 개발자였다. 마음의 여유가 없어 책의 내용
지난 글에서는 initState에 대해서 살펴봤다. 이번 글에서는 build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아래는 대표적인 Stateful Widget인 체크박스 위젯의 build 함수 코드이다.build 함수는 기본적으로 화면을 어떻게 그릴지를 담당하며, setState가
이 시리즈 에서는 플러터에서 기본 제공하는 머터리얼 위젯에 포함되어있는 대표적인 StatefulWidget인 체크박스 위젯을 통해 플러터 개발자가 꼭 알아야할 StatefulWidget LifeCycle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번시간에는 initState에 대하여 알아보
flutter stateful widget의 라이프사이클을 파헤쳐 봅니다.
아래는 material 라이브러리의 checkbox 위젯을 사용하여 체크박스를 화면에 그린 예제이다.checkbox widget은 대표적인 stateful widget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checkbox 위젯을 이용해 stateful widget lifecycle을
1\. 개요 - 무엇을 말하려 하는가 위 스크린샷은 데이터를 표시하는 ListView와 상세페이지 간의 data를 일치시키는 예제이다. 우리가 사용자가 ListView에서 특정 item을 탭했을때 상세 페이지로 진입하게 되는데, 상세 페이지에서 데이터 상태가 변경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