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App 만들기

soo's·2023년 4월 9일
0

React Study

목록 보기
6/14
post-thumbnail

0. 리액트를 사용하는 이유?

𝟏. 리액트는 컴포넌트 기반의 UI 라이브러리
자주 사용되는 코드들을 기능이나 목적에 따라 컴포넌트 별로 나누어서 적재적소에 해당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만약 중복된 코드를 컴포넌트화 시키지 않고 총 5군데에서 사용하고 있다가, 수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5군데 모두 해당 코드를 수정해줘야 한다. 하지만 컴포넌트화 시키면 해당 컴포넌트만 수정하면 끝이기 때문에 유지보수에도 용이하고 코드도 간결해진다.

𝟐. 리액트는 선언형 프로그래밍
절차를 하나하나 다 나열하는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달리 리액트는 선언형 프로그래밍이다. 대표적인 명령형 프로그래밍인 제이쿼리로 예를 들면,
제어할 요소를 가져옴("$#id" 이런 형태로) -> 가져온 요소의 값을 숫자형으로 변환 후 변수에 할당 -> plus를 누르면 변수에 할당된 값에 +1, minus를 누르면 -1 이런식으로 동작하게 한다.
하지만 리액트는 선언형 프로그래밍으로 저 과정을 단순히 plus를 누르면 현재 값에 +1하고, Minus를 누르면 -1한다로 정리할 수 있다.

그러니까 절차를 전부 다 정리해야 하는 명령형과 달리 목적만 명시하는 것이 선언형 프로그래밍이고 이 방법으로 설계하는 것이 리액트이다.

𝟑. 리액트는 virtual DOM을 사용한다.
리액트는 UI에 변화가 생기는 부분을 바로 렌더링 하지 않고 먼저 가상 DOM에 추가한 다음 그것을 실제 DOM에 반영한다. 따라서 실제 DOM에 계속해서 렌더링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게 된다.


1. React App 만들기

리액트는 Node.js 기반의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이다.
대다수의 리액트 사용자들이 웹팩(여러개 js 파일 하나로 합쳐주는 모듈 번들 라이브러리)과 바벨(JSX 문법 사용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와 함께 리액트를 사용을 하는데, 이 외에도 정말 많은 패키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미 리액트를 사용하기 위해 환경설정까지 다 해놓은, 한 마디로 '세팅 완료된 패키지'를 이용해서 리액트를 사용할거다.
그것을 Boiler Plate라고 하는데 react의 경우 create-react-app이 해당한다.

npx create-react-app

이라고 터미널에 명령하면 된다.
이 부분은 리액트 공식문서 참고하샘
‘npx’는 패키지를 로컬에 글로벌로 설치하지 않고 바로 일회성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 ) 그 다음

npm start

라고 명령하면 리액트 앱이 실행된다(localhost 3000으로). 이 명령어는 package.json의 scripts에 적혀있는데, 내가 임의로 수정하거나 추가해도 됨

실행해서 보면

reactexam1/
  node_modules/
  public/
    index.html
    favicon.ico
  src/
    App.css
    App.js
    App.test.js
    index.css
    index.js
    logo.svg
  package-lock.json
  package.json
  README.md

이런 구조로 되어있다.
public/index.html과 src/index.js는 엔트리 포인트가 되는 소스로, 파일이름이 변경되면 create-react-app은 작동하지 않으므로 주의


2. JSX

(1). 컴포넌트 사용시 return 값을 주자

컴포넌트는 한 마디로 정리하면 JSX를 사용해서 무엇인가를 return하는 함수라고 정의할 수 있겠음
따라서 컴포넌트 사용시 반드시 return 값을 주자

// MyFooter.js
const MyFooter = () => {
  return <footer>My Footer</footer>;
};

export default MyFooter;

(2). 닫힘 규칙

JSX 문법을 사용해서 js 파일에서 html 태그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닫힘 태그를 명시해야 한다.

// App.js
function App() {
  return (
    <div className="App">
      <MyHeader />
      <header className="App-header">
		hi! REACT!
      </header>
      <MyFooter />
    </div>
  );
}

div와 header 태그 모두 닫힘 규칙을 따르고 있다. a나 image 태그 역시 <a /> 이런식으로 작성하면 된다. 얘네를 self closing tag라고 한다.

(3). 최상위 태그 규칙

JSX 표현식은 반드시 하나의 부모 요소를 가져야한다.

//App.js
function App() {
  return (
      <MyHeader />
      <header className="App-header">
        <h2>hi~</h2>
      </header>
      <MyFooter />
  );
}

만약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고, npm start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리액트 앱(localhost:3000)은 아래와 같이 컴파일에 실패했음을 알려준다.

또한 해당 컴포넌트에 빨간 밑줄이 생기고 호버하면 위와 같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잇음. JSX 표현식에는 부모 요소가 하나 있어야 합니다!

혹 최상위 태그를 주고 싶지 않다면 <React.Fragment> 태그로 감싸서 만들면 된다. 이것은 리액트의 기능이기 때문에 사용 전에

import React from 'react';

리액트를 임포트해오고 최상위 태그를 주고 싶지 않은 부분을 아래와 같이 수정하면 된다.


function App() {
  return (
    <React.Fragment>
      <MyHeader />
      <header className="App-header">
        <h2>hi~</h2>
      </header>
      <MyFooter />
    </React.Fragment>
  );
}

이 경우에도 최상위 태그를 준 것과 똑같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또한, React.Fragment를 쓰지 않고 <>~</>로 감싸도 똑같이 작동한다.

(4). css 스타일링

먼저 css 파일을 통해 스타일링 하는 방법

 /* App.css */
.App {
  background-color: black;
}

h2 {
  color: #ffffff;
}

css 파일을 만들어서 사용할 js 파일에 import 하면 끝

// App.js 상단에 import 문구 추가
import "./App.css";

(5). inline 스타일링

// App.js 
import MyHeader from "./MyHeader";
import MyFooter from "./MyFooter";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style = {
    App: {
      backgroundColor: "orange",
    },
    h2: {
      color: "white",
    },
  };

  return (
    <div className="App" style={style.App}>
      <MyHeader />
      <header className="App-header">
        <h2 style={style.h2}>hi~</h2>
      </header>
      <MyFooter />
    </div>
  );
}

export default App;

이렇게 style이라는 객체를 만들어서 사용하려는 태그에 style = {style.App} 이런식으로 점 표기법(.)으로 밸류에 접근해서 작성하는 방식이 있다.

(6). { } 안에 문자나 숫자만

중괄호 안에 js의 직접적인 값이나 표현식 혹은 함수(일급객체니까 얘도 값이지만 알아듣기 편하게 함수라고)를 문자나 숫자를 통해서만 작성할 수 있다.

// App.js
function App() {
  const sayHi = () => "hi!";
  return (
    <div className="App">
      <MyHeader />
      <header className="App-header">
        <h2>{sayHi()}</h2>
      </header>
      <MyFooter />
    </div>
  );
}

이렇게 함수를 만들고 그걸 {sayHi()}로 작성하면 리턴값인 hi!가 h2에 들어가게 된다.


function App() {
  let num = 2;
  return (
    <div className="App">
      <MyHeader />
      <header className="App-header">
        <h2>
          {num}{num % 2 ? "홀수" : "짝수"}이다.
        </h2>
      </header>
      <MyFooter />
    </div>
  );
}

표현식은 값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문이기 때문에 삼항연산자(표현식)도 저렇게 {}안에 넣을 수 있는거임 따라서 렌더링 해보면 h2에 2는 짝수이다라고 잘 나옴.


3. STATE

state는 상태.
배고픈 상태 --밥 먹기---> 배부른 상태 --소화---> 적당한 상태 --시간--->배고픈 상태가 계속해서 반복되는 것처럼
state는 계속해서 변화하는 특정 상태다.

react의 useState()를 사용하면 현재 상태와 그 상태를 변화시킬수 있는 modifier 함수를 배열로 받게 되는데 그걸 구조분해할당을 통해 할당 받는 문장이 아래와 같다. useState에 넣는 값은 초기값으로 현재 state는 0이 된다.

let [state, setState] = useState(0)

이ㄸㅐ 버튼을 클릭했을 때 state를 1 증가하고 싶은거라면
const onIncrease = (state) => {
setState(state => state + 1);
}
이렇게 setState 함수에 현재 state (현재 0)를 넘겨서 현재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그것을 렌더링하겠다는 것이다.
onIncrease 함수는 + 버튼을 눌렀을 때만 작동하게 하고 싶으니, button에 onClick={onIncrease}를 넣어주면 된다.

//Counter.js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Counter = () => {
  let [counter, setCounter] = useState(0);
  const onIncrease = (counter) => {
    setCounter((counter) => counter + 1);
  };
  const onDecrease = (counter) => {
    setCounter((counter) => counter - 1);
  };
  return (
    <div>
      <h1>{counter}</h1>
      <button onClick={onIncrease}>+</button>
      <button onClick={onDecrease}>-</button>
    </div>
  );
};

export default Counter;

리액트 공식문서의 예시 : React DOM은 내용이 변경된 텍스트 노드만 업데이트했습니다. --> 변경된 노드만 리렌더링 하는거 보기


4. Props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 prop!

부모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객체형태로 전달하기 때문에 {...data}이렇게 스프레드로 주고 자식 컴포에서 사용할 때는 사용할 값만 {name}이렇게 받아오면 (비구조화 할당)

4-1. spread 연산자로 값 전달

// App.js
function App() {
  let num = 2;
  let counterProps = {
    a: 1,
    b: 2,
    c: 3,
  };
  return (
    <div>
      <MyHeader />
      <Counter {...counterProps} />
    </div>
  );
}

이렇게 counterProps라는 변수는 객체니까 그걸 전달해줄 때는 값을 바로 사용할 수 있게 ... 스프레드 연산자로 전달함

4-2. 비 구조화 할당으로 값 사용

// counter.js
const Counter = ({ a, b }) => {
  console.log(a); // 1
  console.log(b); // 2
  let [counter, setCounter] = useState(0);
  const onIncrease = (counter) => {
    setCounter((counter) => counter + 1);
  };
  const onDecrease = (counter) => {
    setCounter((counter) => counter - 1);
  };
  return (
    <div>
      <h1>{counter}</h1>
      <button onClick={onIncrease}>+</button>
      <button onClick={onDecrease}>-</button>
    </div>
  );
};

마찬가지로 자식 컴포넌트인 Counter에서 값을 받을 때는 그냥 prop 형태로 받아도 되지만 지금 그 prop = {a: 1, b: 2, c: 3} 이거임. 여기서 바로 a 값 사용하기 위해 비 구조화 할당 ㄱㄱ
그래서 ({a, b}) 형태로 그 값만 바로 받아오겠다는거 ㅇㅇ

4-3. defaultProps 설정

// Counter.js
const Counter = ({ initialValue }) => {
  let [counter, setCounter] = useState(initialValue);
  중략...
  return (
    <div>
      <h1>{counter}</h1>
      <button onClick={onIncrease}>+</button>
      <button onClick={onDecrease}>-</button>
    </div>
  );
};

Counter.defaultProps = {
  initialValue: 0,
};

만약에 부모에서 데이터를 까먹고 안 보내주면 undefined를 받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 의도치않게 특정 props가 undefined가 되지 않게 해주기 위해 defaultProps를 자식 컴포넌트 파일에서 설정해주면 부모컴포에서 값을 주지 않아도 디폴트값으로 사용하므로 에러가 나지 않는다.

4-4. prop으로 state까지 전달?!

단순히 정적인 값들만 Prop으로 넘길 수 있는게 아님
심지어 계속해서 변화하는 state까지 넘길 수 있음 바로 예시 ㄱ


// Counter.js
const Counter = ({ initialValue }) => {
  let [counter, setCounter] = useState(initialValue);
  ... 중략
  return (
    <div>
      <h1>{counter}</h1>
      <OddEvenResult counter={counter} />
      <button onClick={onIncrease}>+</button>
      <button onClick={onDecrease}>-</button>
    </div>
  );
};

// OddEvenResult.js
const OddEvenResult = ({ counter }) => {
  console.log(counter);
  return (
    <div>
      {counter}{counter % 2 ? "홀수" : "짝수"}
    </div>
  );
};

즉, Counter 컴포넌트에서 생성된 State인 counter를 OddEvenResult 컴포넌트로 넘겨줌. 이때 이 전 넘겨준 애들은 객체 그 잡채라서 바로 {변수명} 이렇게 해줬지만, 보시다 싶이 Counter는 그냥 0부터 시작하며 변화하는 정수라서 넘겨줄때 counter={counter} 이렇게 객체 형태로 만든 값을 넘겨줌

4-5. prop으로 element 전달 🙆🏻


function App() {
  let num = 2;
  let counterProps = {
    initialValue: 0,
  };
  return (
      <div>
        <MyHeader />
        <Counter {...counterProps} />
      </div>
  );
}

여기서 리턴 값에 이 div 전체를 감싸주는 Container 컴포넌트를 만들고, 그 컴포넌트에 인라인 스타일링을 주려고한다.



// App.js
function App() {
  let num = 2;
  let counterProps = {
    initialValue: 0,
  };
  return (
    <Container>
      <div>
        <MyHeader />
        <Counter {...counterProps} />
      </div>
    </Container>
  );
}



//Container.js
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Container = ({ children }) => {
  const style = {
    border: "1px solid gray",
    margin: 20,
    padding: 20,
    width: 200,
  };
  return <div style={style}>{children}</div>;
};

export default Container;

App.js에서 App 컴포넌트의 리턴값에 Container 컴포넌트로 감싸줌. 현재 Container 컴포넌트 안에 다른 React element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얘를 Container에서 prop으로 받을 수 있음.
따라서 리턴값에 받아온 프롭인 {children}을 넣어주면 그 안에 있던 element들이 렌더링 된다.




5. 렌더링 되는 부분 정리

상태가 변화하면 그것을 컨트롤하는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되고
혹은 부모에서 자식으로 prop을 넘겨주고, 부모의 상태가 변경되면 리렌더링 되고
둘 다 아니더라도 내 부모 컨포넌트가 리렌더링 되면 자식 컴포넌트도 리렌더링 되는거임

참고

boiler plate : Top 9 React Boilerplates to Know in 2023
create-react-app : CRA 설명 및 소스코드 분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