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버네티스란 여러 개의 호스트(Pod)를 하나로 묶어 관리하기 위한 오케스트레이션 툴이다.Pod는 쿠버네티스의 최소 배포 단위로 1개 이상의 컨테이너,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이 포함된다.공식 사이트의 정의로는 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의 배포 자동화, 스케일링, 운영을 위해

Yaml 및 Json 파일에 ConfigMap과 Secret을 정의.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려면, 애플리케이션을 docker image로 만들어 도커 허브에 push 필요.Kubectl 명령어를 실행하면 kube-Apiserver에 REST API로 Yaml

Kubernetes의 Input은 Action이 아닌 Desired StateKuberenetes 공식 홈페이지의 다큐멘테이션을 읽으면 유독 Desired state라는 단어가 많이 등장한다.이는 Kubernetes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핵심적인 부분이다.Docker

Running Containers in POD/Total Containers in POD
기존에 정리해놓고 또 잊어먹어 리마인드차 꼼꼼히 정리해본다.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스케일링, 로드밸런싱, 복구까지 자동으로 관리“원하는 상태(Desired State)”를 선언하면, 쿠버네티스가 실제 상태를 계속 조정(Reconcil

현재 쿠버네티스 관련하여 사실상 다시 공부하고 있다. 이해하고 넘어가야 좀 속이 시원할 것 같아서 정리해본다.Docker컨테이너 생태계를 대중화시킨 올인원 플랫폼CLI, 빌드 시스템, 이미지 관리, 런타임까지 포함containerdCNCF 프로젝트로 독립된 컨테이너 런

쿠버네티스를 공부하다가 기본적인 도커에 대해서도 이해도가 있어야 편할 것 같아 정리해본다.한 대의 서버 → 하나의 운영체제(OS) →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 안정적이지만, 사용하지 않는 자원(CPU·메모리·디스크)은 그대로 낭비 즉, 안정성은 높으나 자원 활용 효율

간단히 실습 하나하나씩 해보려고 한다. 일단 minikube에서 실습을 하고있다.앱 하나 만들어서 해당 이미지 빌드 후 쿠버네티스 파드로 띄우는 실습을 해보고자 한다.app.py 작성 (예: Flask 서버, 4000 포트 실행)
로컬 PC에 Kubernetes 구축 후 오브젝트 샘플 테스트하다보니 서비스와 인그레스 실습 시 개념이 부족해 정리해본다.일반적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것을 지칭Ingress 트래픽 : 외부에서 서버로 유입되는 트래픽이고Ingress 네트워크 : Ingress 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