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튜플

Turtle·2024년 8월 18일
0
post-thumbnail

🗃️문제 설명

👉원소의 개수 순서대로 정렬 후 중복되는 요소가 없게끔 추가하면 되는데 이 때, set()은 순서를 보장하지 않아 사용이 어렵고 list()in 연산자를 사용하면 가능, 그러나 실행 시간을 좀 줄여보기 위해 dict()를 사용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2, a3, ..., an)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ex : (2, 3, 1, 2)

  2.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 ex : (1, 2, 3) ≠ (1, 3, 2)

  3.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1, a2}, {a1, a2, a3}, {a1, a2, a3, a4}, ... {a1, a2, a3, a4, ..., an}}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 {{2}, {2, 1}, {2, 1, 3}, {2, 1, 3,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 {{2}, {2, 1}, {2, 1, 3}, {2, 1, 3, 4}}
  • {{2, 1, 3, 4}, {2}, {2, 1, 3}, {2, 1}}
  • {{1, 2, 3}, {2, 1}, {1, 2, 4, 3}, {2}}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코드

def solution(s):
    result = dict()
    s = s[2:len(s)-2].split("},{")
    s = sorted(s, key=lambda x : len(x))
    for t in s:
        t = t.split(",")
        for i in t:
        	# 👉list에서 in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시간 복잡도 : O(N)
            # 👉dict에서 in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시간 복잡도 : O(1)
            if int(i) not in result:
                result[int(i)] = 1
    return list(result)

🔒문제 출처

프로그래머스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튜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