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로길이가 n
가로길이가 m
인 격자 모양의 땅 속에서 석유가 발견되었습니다. 석유는 여러 덩어리로 나누어 묻혀있습니다. 당신이 시추관을 수직으로 단 하나만 뚫을 수 있을 때, 가장 많은 석유를 뽑을 수 있는 시추관의 위치를 찾으려고 합니다. 시추관은 열 하나를 관통하는 형태여야 하며, 열과 열 사이에 시추관을 뚫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가로가 8, 세로가 5인 격자 모양의 땅 속에 위 그림처럼 석유가 발견되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상, 하, 좌, 우로 연결된 석유는 하나의 덩어리이며, 석유 덩어리의 크기는 덩어리에 포함된 칸의 수입니다. 그림에서 석유 덩어리의 크기는 왼쪽부터 8, 7, 2입니다.
시추관은 위 그림처럼 설치한 위치 아래로 끝까지 뻗어나갑니다. 만약 시추관이 석유 덩어리의 일부를 지나면 해당 덩어리에 속한 모든 석유를 뽑을 수 있습니다. 시추관이 뽑을 수 있는 석유량은 시추관이 지나는 석유 덩어리들의 크기를 모두 합한 값입니다. 시추관을 설치한 위치에 따라 뽑을 수 있는 석유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른쪽 그림처럼 7번 열에 시추관을 설치하면 크기가 7, 2인 덩어리의 석유를 얻어 뽑을 수 있는 석유량이 9로 가장 많습니다.
석유가 묻힌 땅과 석유 덩어리를 나타내는 2차원 정수 배열 l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시추관 하나를 설치해 뽑을 수 있는 가장 많은 석유량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land):
visited = [[False] * len(land[0]) for _ in range(len(land))]
array = [0] * 500
def BFS(a, b):
temp = set()
q = deque()
q.append((a, b))
visited[a][b] = True
temp.add(b)
cnt = 1 # 한 덩어리 석유 매장량(시작 지점 포함)
while q:
y, x = q.popleft()
dy = [1, 0, -1, 0]
dx = [0, -1, 0, 1]
for i in range(4):
ny = y + dy[i]
nx = x + dx[i]
if 0 <= ny < len(land) and 0 <= nx < len(land[0]):
if not visited[ny][nx] and land[ny][nx] == 1:
q.append((ny, nx))
visited[ny][nx] = True
cnt += 1
temp.add(nx)
for t in temp:
array[t] += cnt
for i in range(len(land)):
for j in range(len(land[i])):
if land[i][j] == 1 and not visited[i][j]:
BFS(i, j)
return max(ar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