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릿수를 늘려가면서 조건을 만족하는 이친수를 찾아보았는데 피보나치수열과 동일한 규칙성을 갖는 수열이 생기게 된다. 이를 이용해서 금방 해결할 수 있었다.
N = int(input()) pinary_number = [1, 1, 2] for i in range(3, N+1): pinary_number.append(pinary_number[i-2] + pinary_number[i-1]) print(pinary_number[N-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