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ODTO(Data Transfer Object)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체데이터를 담아서 전달하는 바구니"계층 간"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객체오직 getter/setter 메서드 만을 갖는다.setter 메서드가 존재한다면 가변, setter 메서드가
JOIN이란 데이터베이스 내의 여러 테이블에서 가져온 레코드(행)를 조합하여 하나의 테이블이나 결과 집합으로 표현하는 RDB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연산이다.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적 특징으로 정규화를 수행하면 의미 있는 데이터의 집합으로 테이블이 구성되고 각 테이블끼
현재 인프런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강의 중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내용에 대해서 복습을 하고 있다. 강의를 따라서 코드를 치기만 한다면 그것이 과연 내 것이 될까 싶어 요구사항을 직접 개발해보기로 하였다. 강의 내용 중에 상품
게시판 개인 프로젝트에서 조회 수를 처리하는 부분을 구현하면서 직접 DB에 액세스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Redis를 도입했는데 정작 왜 Redis를 써야 하는지 Redis가 무엇인지 제대로 알진 못하고 도입했던 느낌이 없지 않아 있
캐시(Cache)란, 원본 저장소보다 빠른 임시 데이터 저장소를 말한다.캐싱(Caching)이란, 캐시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빠르게 가져오는 방식을 말한다.데이터를 조회할 때 주로 사용하는 전략이 이 Cache Aside 전략이다. 게시판에서 조회 기능을 구현하고 이를
❓더미 데이터를 넣는 이유 : 조회 성능이 얼마나 개선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더미 데이터 생성 결과 확인build.gradle 의존성 추가application.yml Redis 관련 설정 코드 추가RedisConfig 레디스 Configuration 코드 작성Red
🏷️Cookie 웹 브라우저 쿠키(Cookie)란,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데이터 조각으로 key=value 형식으로 되어 있다. 브라우저는 이 쿠키 값을 저장해놓았다가 동일한 서버에 인증을 필요로 하는 재요청을 보낼 시 쿠키 값을 같이 전송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