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백준 12789번 도키도키 간식드리미

김진웅·2023년 8월 11일
1

baekjoon-study

목록 보기
5/59
post-thumbnail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2789

문제

인하대학교 학생회에서는 중간, 기말고사 때마다 시험 공부에 지친 학우들을 위해 간식을 나눠주는 간식 드리미 행사를 실시한다. 승환이는 시험 기간이 될 때마다 간식을 받을 생각에 두근두근 설레서 시험 공부에 집중을 못 한다. 이번 중간고사에서도 역시 승환이는 설레는 가슴을 안고 간식을 받기 위해 미리 공지된 장소에 시간 맞춰 도착했다. 그런데 이게 무슨 날벼락인가! 그 곳에는 이미 모든 학생들이 모여있었고, 승환이는 마지막 번호표를 받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몇몇 양심에 털이 난 학생들이 새치기를 거듭한 끝에 대기열의 순서마저 엉망이 되고 말았다. 간식을 나눠주고 있던 인규는 학우들의 터져 나오는 불만에 번호표 순서로만 간식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제야 학생들이 순서대로 줄을 서려고 했지만 공간이 너무 협소해서 마음대로 이동할 수 없었다. 다행히도 대기열의 왼쪽에는 1열로 설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여 이 공간을 잘 이용하면 모두가 순서대로 간식을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자칫 간식을 못 받게 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을 느낀 승환이는 자신의 컴퓨터 알고리즘적 지식을 활용해 과연 모든 사람들이 순서대로 간식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했다. 만약 불가능 하다면 승환이는 이번 중간고사를 망치게 될 것 이고 가능하다면 힘을 얻어 중간고사를 잘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사람들은 현재 1열로 줄을 서있고, 맨 앞의 사람만 이동이 가능하다. 인규는 번호표 순서대로만 통과할 수 있는 라인을 만들어 두었다. 이 라인과 대기열의 맨 앞 사람 사이에는 한 사람씩 1열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다. 현재 대기열의 사람들은 이 공간으로 올 수 있지만 반대는 불가능하다. 승환이를 도와 프로그램을 완성하라.

현재 간식 배부 공간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위 예제는 다음 그림과 같이 움직였을 때 모두가 순서대로 간식을 받을 수 있다..

입력

입력의 첫째 줄에는 현재 승환이의 앞에 서 있는 학생들의 수 N(1 ≤ N ≤ 1,000,자연수)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승환이 앞에 서있는 모든 학생들의 번호표(1,2,...,N) 순서가 앞에서부터 뒤 순서로 주어진다.


출력

승환이가 무사히 간식을 받을 수 있으면 "Nice"(따옴표는 제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다면 "Sad"(따옴표는 제외)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5 4 1 3 2

예제 출력 1

Nice

아이디어 스케치

  • 한 영역만 설 수 있는 공간은 먼저 들어온 사람이 맨 밑에 깔리고 가장 마지막에 들어오는 사람이 가장 먼저 나가야 하므로 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하면 될 것 이다.
  • 숫자 순서대로 나갈 수 있으므로 중간중간에 계속 현재 나갈 수 있는 번호를 체크한다.




코드 분할 설명

스택 구현

int stack[1001];
int top = -1;

void push(int data)
{
    stack[++top] = data;
}

int pop()
{
    return stack[top--];
}
  • 이 문제에서는 '설 수 있는 공간'에 넣는 작업과 여기서 빼는 작업만 수행하므로 push와 pop만 구현한다.




Main 함수 내 반복문

scanf("%d", &N);    

    while (N--) {
        scanf("%d", &num);
        if (num == possible) {
            possible++;
            while (top >= 0 && stack[top] == possible) {
                pop();
                possible++;
            }
        }
        else {
            push(num);
        }
    }
  • 먼저 총 인원수 N을 입력 받은 후 N만큼 숫자를 입력받아야 하므로 반복문을 N 갯수만큼 돌린다.
  • possible은 현재 간식을 받을 수 있는 번호로 현재 맨 앞에 있는 사람의 번호와 간식을 받을 수 있는 번호가 같으면 간식을 받을 수 있는 번호를 1 올린다.
    • 스택의 맨 위의 숫자, 즉 '설 수 있는 공간'의 맨 앞에 있는 사람의 번호와 possible의 번호를 비교하여 같으면 빼낸다.
  • 같지 않으면 '설 수 있는 공간'에 현재 번호표를 가진 사람을 밀어 넣는다.





결과 체크

if (top == -1)
        printf("Nice");
    else
        printf("Sad");
  • top=-1, 즉 위의 조건에서 모든 사람이 간식을 받는데 성공하면 '설 수 있는 공간'에는 사람이 비어있으므로 Nice를 출력한다.
  • 그렇지 않으면 Sad출력




전체 코드

#include <stdio.h>

int stack[1001];
int top = -1;

void push(int data)
{
    stack[++top] = data;
}

int pop()
{
    return stack[top--];
}

int main()
{
    int N;
    int possible = 1;
    int num;

    scanf("%d", &N);    

    while (N--) {
        scanf("%d", &num);
        if (num == possible) {
            possible++;
            while (top >= 0 && stack[top] == possible) {
                pop();
                possible++;
            }
        }
        else {
            push(num);
        }
    }

    if (top == -1)
        printf("Nice");
    else
        printf("Sad");

    return 0;
}




제출 결과

profile
IT Velo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