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이유
- ERD - Cloud 를 이용하여 ERD 를 작성해야하는데 안한지 오래돼서 조금은 헷갈리는 부분이 있었다.
개념을 다시 정리하면서 복습하는 개념으로 연관 관계를 정리하는게 좋다고 생각해서 작성하게 되었다.
연관관계 그리고 ERD 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연관관계를 많이 사용합니다.
연관관계란 두 개 이상의 테이블 간에 존재하는 관계를 의미하는데요!
이 연관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 입니다.
종류
일 대 일 (1 : 1)
일 대 다 (1 : N)
다 대 다 (N : M)
관계선
식별관계
- 실선(Identifying)
- 부모테이블의 PK가 자식테이블의 FK/PK가 되는 경우
- 부모가 있어야 자식이 생기는 경우
비식별관계
- 점선(Non-Identifying)
- 부모테이블의 PK가 자식테이블의 일반속성이 되는 경우
- 부모가 없어도 자식이 생기는 경우
1:1
- 위 쪽은 단방향 1:1 관계, 아래 쪽은 양방향 1:1 관계이다

1:N
- 맨 위쪽은 1개와 0이 될 수 있는 N개로 구성되며, 가운데는 1개와 최소 1로 될 수 있는 N로 구성되었고,
맨 아래쪽은 1개와 N개로 구성될 수 있다.

N:N
- 맨 위쪽은 N:N 의 관계이며, 아래쪽은 중간에 관계를 포함시켜 복잡함을 덜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