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백준 21608번(삼성 SW)

EunBi Na·2022년 5월 31일
0

문제

상어 초등학교에는 교실이 하나 있고, 교실은 N×N 크기의 격자로 나타낼 수 있다. 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수는 N2명이다. 오늘은 모든 학생의 자리를 정하는 날이다. 학생은 1번부터 N2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고, (r, c)는 r행 c열을 의미한다. 교실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선생님은 학생의 순서를 정했고, 각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도 모두 조사했다. 이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이용해 정해진 순서대로 학생의 자리를 정하려고 한다. 한 칸에는 학생 한 명의 자리만 있을 수 있고, |r1 - r2| + |c1 - c2| = 1을 만족하는 두 칸이 (r1, c1)과 (r2, c2)를 인접하다고 한다.

비어있는 칸 중에서 좋아하는 학생이 인접한 칸에 가장 많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1을 만족하는 칸이 여러 개이면, 인접한 칸 중에서 비어있는 칸이 가장 많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2를 만족하는 칸도 여러 개인 경우에는 행의 번호가 가장 작은 칸으로, 그러한 칸도 여러 개이면 열의 번호가 가장 작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예를 들어, N = 3이고, 학생 N2명의 순서와 각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이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학생의 번호 좋아하는 학생의 번호
4 2, 5, 1, 7
3 1, 9, 4, 5
9 8, 1, 2, 3
8 1, 9, 3, 4
7 2, 3, 4, 8
1 9, 2, 5, 7
6 5, 2, 3, 4
5 1, 9, 2, 8
2 9, 3, 1, 4
가장 먼저, 4번 학생의 자리를 정해야 한다. 현재 교실의 모든 칸은 빈 칸이다. 2번 조건에 의해 인접한 칸 중에서 비어있는 칸이 가장 많은 칸인 (2, 2)이 4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4

다음 학생은 3번이다. 1번 조건을 만족하는 칸은 (1, 2), (2, 1), (2, 3), (3, 2) 이다. 이 칸은 모두 비어있는 인접한 칸이 2개이다. 따라서, 3번 조건에 의해 (1, 2)가 3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3
4

다음은 9번 학생이다. 9번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의 번호는 8, 1, 2, 3이고, 이 중에 3은 자리에 앉아있다. 좋아하는 학생이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은 (1, 1), (1, 3)이다. 두 칸 모두 비어있는 인접한 칸이 1개이고, 행의 번호도 1이다. 따라서, 3번 조건에 의해 (1, 1)이 9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9 3
4

이번에 자리를 정할 학생은 8번 학생이다. (2, 1)이 8번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과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이기 때문에, 여기가 그 학생의 자리이다.

9 3
8 4

7번 학생의 자리를 정해보자. 1번 조건을 만족하는 칸은 (1, 3), (2, 3), (3, 1), (3, 2)로 총 4개가 있고, 비어있는 칸과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은 (2, 3), (3, 2)이다. 행의 번호가 작은 (2, 3)이 7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9 3
8 4 7

이런식으로 학생의 자리를 모두 정하면 다음과 같다.

9 3 2
8 4 7
5 6 1
이제 학생의 만족도를 구해야 한다. 학생의 만족도는 자리 배치가 모두 끝난 후에 구할 수 있다. 학생의 만족도를 구하려면 그 학생과 인접한 칸에 앉은 좋아하는 학생의 수를 구해야 한다. 그 값이 0이면 학생의 만족도는 0, 1이면 1, 2이면 10, 3이면 100, 4이면 1000이다.

학생의 만족도의 총 합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2개의 줄에 학생의 번호와 그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의 번호가 한 줄에 하나씩 선생님이 자리를 정할 순서대로 주어진다.

학생의 번호는 중복되지 않으며, 어떤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은 모두 다른 학생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학생의 번호, 좋아하는 학생의 번호는 N2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어떤 학생이 자기 자신을 좋아하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학생의 만족도의 총 합을 출력한다.

제한

3 ≤ N ≤ 20

구현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r = [-1, 1, 0, 0]
dc = [0, 0, -1, 1]


n = int(input())
arr = [[0]*n for _ in range(n)]
## 한 번에 정보를 받음
students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2)]

## 학생 수 만큼 for문을 돌며 자리에 앉혀 줌.
for order in range(n**2):
    student = students[order]
    ## 여기다가 가능한 자리를 다 담아서 정렬 후 앉힘
    tmp = []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arr[i][j] == 0:
                like = 0
                blank = 0
                for k in range(4):
                    nr, nc = i + dr[k], j + dc[k]
                    if 0 <= nr < n and 0 <= nc < n:
                        if arr[nr][nc] in student[1:]:
                            like += 1
                        if arr[nr][nc] == 0:
                            blank += 1
                tmp.append([like, blank, i, j])
    ### !!!! like, blank는 클 수록, 행과 열의 수는 작을수록 답이니 lambda 뒤의 조건을 잘 줘야함!!!
    tmp.sort(key= lambda x:(-x[0], -x[1], x[2], x[3]))
    ### 정렬 후 젤 앞에 있는 리스트의 행과 열의 번호에 학생 앉히기 
    arr[tmp[0][2]][tmp[0][3]] = student[0]

result = 0
## 점수를 매길 때는 학생 순서대로 점수 주기 위해 정렬함 
students.sort()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ans = 0
        for k in range(4):
            nr, nc = i + dr[k], j + dc[k]
            if 0 <= nr < n and 0 <= nc < n:
                if arr[nr][nc] in students[arr[i][j]-1]:
                    ans += 1
        if ans != 0:
            result += 10 ** (ans-1)
print(result)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dx = [-1,1,0,0]
dy = [0,0,-1,1]

def check(j,k):
    near_list = []
    empty = 0
    for i in range(4):
        if j+dx[i] >=0 and j+dx[i] < n and k+dy[i] >=0 and k+dy[i] < n:
            if table[j+dx[i]][k+dy[i]]:
                near_list.append(table[j+dx[i]][k+dy[i]])
            else:
                empty += 1

    return near_list,empty

def find_seat(l):
    l = sorted(l, key=lambda x:(x[0], x[1], x[2], x[3]))
    cnt,emp,x,y = l[0]
    return x,y


student = defaultdict(list)

for _ in range(n*n):
    temp = list(map(int, input().split()))
    student[temp[0]] = temp[1:]

table = [[False] * n for _ in range(n)]

for i in student.keys():
    l = []
    temp =[]
    cnt = 0
    like_friend = 0 # i가 앉을수있는 위치에서 좋아하는 친구들의 수
    for j in range(n):
        for k in range(n):
            if table[j][k]: # 누가 앉아있으면 건너뛰고
                continue
            #i학생이 j,k에 앉았을때 인접한 친구들과 인접한 빈칸의 수
            near_list, emp = check(j,k)

            for like in student[i]:
                if like in near_list:
                    cnt += 1
            temp.append(-cnt)
            temp.append(-emp)
            temp.append(j)
            temp.append(k)
            l.append(temp)
            temp = []
            cnt = 0

    #print(l) # l- 친구리스트와 빈칸, 해당 자리
    x,y = find_seat(l)
    table[x][y] = i

answer = 0
score = {0:0, 1:1, 2:10, 3:100, 4:100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count = 0
        friend_list = check(i,j)[0]
        for f in friend_list:
            if f in student[table[i][j]]:
                count += 1
        answer += score[count]

print(answer)

배운점 :

한명의 학생이 자리를 찾을때, 비어있는 모든 자리 탐색하며 조건에 가장 부합한 자리를 찾아야한다. (완전탐색)

학생은 딕셔너리형태로 {학생넘버 : 좋아하는학생리스트} 형태로 입력받는다.

  • check(j,k)함수 : j,k인덱스 자리에서 인접한 자리에 위치한 친구들리스트와 빈칸의수를 리턴하는 함수
    한명의 학생이 앉을 자리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빈자리를 모두 탐색해야하므로, 이때 빈칸인 j,k에 대해서 check함수를 호출

  • find_seat(l)함수 : 자리를 결정하는 함수
    l배열의 원소는 다음과 같다. (좋아하는 친구들수, 빈칸의수, 행, 열 )
    이때 좋아하는 친구들이 많은 순 -> 빈칸이 많은 순 -> 행이 작은순 -> 열이 작은순 정렬해야하는데 sorted()함수를 통해서 한번에 조건 4개를모두 따지기위해서 (내림차순) 좋아하는 친구들수와 빈칸의수를 음수로해서 넣는다.
    이렇게 하면 내림차순 정렬했을때 한번에 위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원소가 맨앞에 오게된다.

  • table배열 : 누군가 앉았다면 False에서 해당학생의 번호로 바꿔준다.
    앉을 자리를 선택할때 table에서 False인 위치만 체크한다.

링크텍스트

profile
This is a velog that freely records the process I learn.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