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에 score가 0보다 작으면 Exception을 내는 자바코드가 있다. 이를 코틀린으로 변환해보자.
아래처럼 kotlin으로 변환할 수 있다. 큰 차이는 없다.
그렇다면 else 문은 ?
kotlie은 아래처럼 표현. 하지만 차이점이 있다.
Java에서 if-else는 Statement이지만,
Kotlin에서는 Expression입니다.
30 + 40 은 70이라는 하나의 결과가 나옵니다.
if 문을 하나의 값으로 취급하지 않으니 에러가 난다.
3항 연산자는 하나의 값으로 취급하므로 에러가 없다.
하지만 코틀린에서는 if-else를 expression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3항 연산자가 없습니다.
if – else if – else 문도 문법이 동일합니다
자바에서 어떠한 값이 특정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 포함되어 있지 않은지를 아래처럼 사용하였다.
코틀린에서도 동일한 방법이 사용 가능은 하지만 in연산자를 아래처럼 사용한다.
아래는 자바의 switch 문이다.
코틀린에서는 switch 대신 when이 사용된다.
아래와 같은 범위 방식도 사용가능하다.
아래 obj 가 String Type인지 확인하고 후처리 하는 자바코드가 있다.
아래 코틀린 코드로 가독성좋게 변환가능하다.
아래의 자바코드도 변환해볼까 ?
아래처럼 변환할 수 있다 .
when은 Enum Class 혹은 Sealed Class와 함께 사용할 경우, 더욱더 진가를 발휘한다.
다음 포스팅은 반복문을 비교하며 공부하며 포스팅 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