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Unit회고 정리(Unit3)

이상원·2022년 5월 12일
0

Unit회고

목록 보기
2/2

Chapter1. 조건문

truthy와 falsy 가 조건문에서 작동하는 방식

//숫자의 비교
let age = 25;
console.log(19 < age) --->>> false 
//조건 age는 19보다 작다의 age의 25가 할당되어 false 

let age = 17;
console.log(19 < age) --->>> true
///조건 age는 19보다 작다의 age의 17가 할당되어 true

//문자열의 비교
console.log('hello' === 'world') --->>> true
console.log('hello' !== 'world') --->>> false

//숫자와 문자열의 비교
let str = '100'
let num = 100
console.log(str === num) --->>> false

연산자

AND연산자 (&&)

let isStudent = true;
let isFemale = true;

console.log(isStudent && isFemale) --->>>true
console.log(isStudent && !isFemale) --->>>false
console.log(!isStudent && isFemale) --->>>false
console.log(!isStudent && !isFemale) --->>>false

AND 연산자(&&)를 사용했을 경우 두 조건이 모두 truthy 해야만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가 출력됩니다.

OR연산자(||)

let isStudent = true;
let isFemale = true;

console.log(isStudent || isFemale) --->>>true
console.log(isStudent || !isFemale) --->>>true
console.log(!isStudent || isFemale) --->>>true
console.log(!isStudent || !isFemale) --->>>false

OR연산자(||)를 사용했을 경우 두 조건 중 하나라도 truthy한 값일 경우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가 출력됩니다

NOT연산자(!)

let isStudent = true;
let isFemale = false;

console.log(!isStudent) --->>>false
console.log(!isFemale) --->>>true

NOT연산자는 결과가 true이면 false를, false이면 true를 반환합니다. 2개 이상을 중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Chapter2.문자열

.length

.length 속성을 활용하여 문자열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다.

let str = 'code states';

console.log(str.length) --->>>11

.slice

.slice 속성을 사용하여 해당 문자열에서 원하는 만큼 추출할 수 있다.

start : 배열의 index의 시작점
end : 배열의 index의 끝점

let papers = ['일반지','고급지','특수지','판지','스티커','디지털인쇄']

papers.slice(0,3);//0번째 인덱스부터 3번째 인덱스 직전까지
//Array(3) [ "일반지", "고급지", "특수지" ]

papers.slice(2);//2번째 인덱스부터 끝까지 전부
//Array(4) [ "특수지", "판지", "스티커", "디지털인쇄" ]

papers.slice(2,3);//2번째 인덱스부터 3번째 인덱스 직전까지
//Array [ "특수지" ] //1개만 선택되었다!

.toUpperCase .toLowerCase

toUpperCase() --->>> 소문자->대문자

toLowerCase() --->>> 대문자->소문자

위 메소드를 사용하여 영문으로 된 문자열을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바꿀 수 있다.

문자열 중 원하는 문자의 index를 찾고 접근하기 위해서는
str.indexOf('a') 또는 str.lastIndexOf('a'),str[1]

let str = 'code states'

console.log(str.indexOf('s'))
console.log(str.indexOf('i'))

.includes()

const array1 = [1, 2, 3];

console.log(array1.includes(2)); --->>>true

const pets = ['cat', 'dog', 'bat'];

console.log(pets.includes('cat')); --->>>true

console.log(pets.includes('at')); --->>>false

위와 같이 includes() 메서드를 활용해 문자열 중 원하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split() , .join()

var str = 'hello, world!'; 
var strArr = str.split(','); 
console.log(strArr); //strArr = ['hello', ' world!'];

문자열을 배열로 변경

var arr = ['My', 'name', 'is', 'SeHee', ', Kim']; 
var str = arr.join(' '); 
console.log(str); // str = My name is SeHee ,Kim;

배열을 문자열로 변경

split() , join() 메서드를 활용해 문자열을 배열로 바꾸거나, 배열을 문자열로 바꿀 수 있다.

Chapter3. 반복문

for 문

for 반복문은 어떤 특정한 조건이 거짓으로 판별될 때까지 반복한다.

for ([초기문]; [조건문]; [증감문])
  문장
  
for (let n = 0; n <= 4; n = n + 1) {
	console.log('hello world') --->>>5'hello world'
}

do...while 문

do...while 문은 특정한 조건이 거짓으로 판별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do
  문장
while (조건문);

do {
  i += 1;
  console.log(i);
} while (i < 5);

while 문

while 문은 어떤 조건문이 참이기만 하면 문장을 계속해서 수행합니다.

while (조건문)
  문장
  
n = 0;
x = 0;
while (n < 3) {
n++;
x += n;
} // n이 3보다 작은 경우에는 반복문이 계속 실행
profile
코드짜는 제빵왕이상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