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thumbnail

이미지 노드 이야기

나만무 프로젝트의 구현 사항 중, '검색을 통한 이미지 노드 생성'이 있었다. 이 부분은 내가 구현하게 되었는데, 구현 자체만을 떼 놓고 본다면 난이도는 어렵지 않았다. 무료 이미지 사이트인 Unsplash API를 이용했었는데, 워낙 사용하기 편하게 잘 되어있어서

3일 전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TML canvas, 마인드맵 이야기

HTML의 canvas 요소에 대해 잘 알고 계신가? 우선 난 이번 프로젝트 진행 전에는 canvas 에 대해 정~말 아무것도 몰랐다. 하지만 마인드맵 기반 협업 툴이라는주제를 다루는 프로젝트 특성상, 프로젝트 기간 내내 canvas 와 동고동락하게 되었고, 이제는 그

2023년 8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마우스 트래킹 이야기

마우스 트래킹은, 실시간 협업 툴을 구상한다면 빼놓을 수 없는 기능이다. 실시간으로 다른 유저의 마우스 움직임을 볼 수 있다는 것은, 다른 어떠한 기능보다도 유저에게 협업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주기에 안성맞춤이기 때문! 더불이 이번에 진행한 프로젝트에서 내가 주로

2023년 8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크래프톤 정글 회고: 나만무를 마무리하며

정~말 오랜만에 쓰는 블로그 글이다. 5주간 정신없이 나만무만을 보고 달려왔고, 때문에 블로그며 알고리즘 문제 풀이며 전면 중지! 코딩 테스트 감각을 좀 유지해야 할 것 같아서 짬짬이 문제는 풀어보려 했..으나 잘 시간도 없어가지고 ㅋㅋㅋ 결국 가장 괴로웠던 건 아

2023년 8월 13일
·
4개의 댓글
·

크래프톤 정글 회고: 나만무를 앞두고

7월의 첫날이다. 나만의 무기를 갖기 팀 형성 기간이라 반이 어수선하기도 하고, 공부도 영 손에 안잡혀서 간만에 글로 생각을 좀 정리해보려 한다. 잠깐의 숨고르기 🥱 입소한 날이 언제인지도 가물가물하다. 블로그에 쓴 첫 글을 찾아보니까 내가 입소한 날은 4월 4일!

2023년 7월 5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intos Project 3: Vertual Memory에서 배운 점들 + 회고

PintOS 의 세 번째 프로젝트, 가상 메모리 주차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벌써 PintOS 와 함께한지 한 달이 채 넘어간다. 이젠 정말 미운 정 고운 정 다 들어버린듯?프로젝트 3에선 어떤 것을 배웠고, 어떤 문제점을 만났었는지 정리해보자.PintOS 는 우리가

2023년 6월 26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intos Project 3: 중간회고

한창 PintOS 의 세 번째 프로젝트에 열을 올리고 있던 중, 우리반 단체 톡방에 어떤 형님이 올려주신 블로그 글의 제목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PintOS 에게 두드려 맞은 또다른 희생자님이 쓰신 글이었는데, 제목을 보면 알 수 있듯 PintOS 의 장점으로 시

2023년 6월 20일
·
1개의 댓글
·

Pintos Project 2: System Call 에서 배운 점들 + 회고

PintOS의 두번째 지옥 탈출 🔱 매주 점점 더 힘들어지는 PintOS 의 두번째 프로젝트를 마무리했다. 모든 테스트를 통과한 유일한 팀이 되는 엄청난 경험을 하기도, 정글 입소 후 가장 큰 벽을 만나기도 했던 Project 2 였다. 눈 코 뜰 새 없이 바빠서

2023년 6월 12일
·
1개의 댓글
·

Pintos Project 2: Argument Passing에서 배운 점들

더, 더 아래로 👇 첫 번째 프로젝트 까지는 모든 작업을 커널 위에서 진행했지만, 이제부턴 유저 레벨에서의 동작을 처리한다. 본격적으로 'OS스러운 기능' 을 구현해보는 시간! 첫 과제는 파일 실행을 위한 작업을 직접 구현해보는 Argument Passing 이다.

2023년 6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Pintos Project 1: 키워드 정리

thread_block() : Running Thread -> Blocked Threadthread_unblock() : Blocked Thread -> Ready Threadthread_yield() : Running Thread -> Ready Threadsched

2023년 6월 1일
·
0개의 댓글
·

Pintos Project 1: Priority Scheduling 에서 배운 점들

이것이 정글의 꽃이다 🌺 첫 과제인 Alarm Clock 을 성공적으로 처리하고, 본격적으로 PintOS의 스케줄링에 딥다이브할 시간이 왔다. 기존의 바보같던 스케줄러를 뚝딱뚝딱 고쳐 똑똑하게 만드는 과정은 너무나 어려웠고, 또 즐거웠다! PintOS 주차가 지옥주라

2023년 5월 31일
·
2개의 댓글
·

Pintos Project 1: Alarm Clock에서 만난 문제들

처음 만난 Pintos 대망의 Pintos 대장정의 막이 올랐다. 처음 만난 Pintos는 그야말로 높디높은 벽 그 자체. 지금껏 정글에서 만난 적 없는 거대한 분량의 코드의 양에 압도되었다. 코드들이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나 알아볼 틈도 없이, Pintos의 첫 과

2023년 5월 2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eb-Proxy Lab: Tiny Server 무한 루프 문제를 해결해보자

기존의 코드에서는, 요청을 받은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무한루프에 들어가며 동작을 멈추는 문제가 있었다.일반적으로 HTTP 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응답을 보내고 연결을 종료한다. 이 때 연결이 제대로 끊어지지 않았다면 서버는 계속하여 클라이언트에게서

2023년 5월 24일
·
0개의 댓글
·

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네트워크 공부

네트워크란? 🕸️ network: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 그룹이나 시스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점, 그들간의 관계를 선으로 표시한 것 Ex) 뉴런과 시냅스(neural network), 사람과 친분관계(social network) 등등.. 내가

2023년 5월 23일
·
0개의 댓글
·

CSAPP 독서 내용 정리 12-1 ~12-3

동시성 프로그램을 만드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fork, exec, waitpid와 같은 함수를 사용한다.여러 개의 별도 프로세스를 두어 개별로 동작시키며 동시성을 구현한다.각각의 프로세스가 독립적으로 실행되므로, 한 프로세스의 오류나 충돌이 다른 프로세스에 영향을

2023년 5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eb-Proxy Lab: Tiny Server 숙제 문제를 해결해보자

귀여운 우리집 고양이 영상을 보여주는 페이지!! GET 요청을 보내서 두 수를 더해주는 기능도 있다.Tiny를 확장하여 동영상 파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브라우저를 통해 결과를 체크하시오.서버의 디렉토리에 동영상 파일을 넣어주고, 간단한 video 태그를 추

2023년 5월 21일
·
0개의 댓글
·

크래프톤 정글 Week6 회고록

Malloc Lab 🤔 이번 주는 RB 트리 구현에 사용했던 malloc 함수를 직접 C로 구현해보는 Malloc Lab 과제를 진행했다. 이는 세계 굴지의 컴퓨터공학 명문 대학인 카네기 멜론 대학에서 실제로 학생들에게 내주는 과제라고도 한다. 주차를 진행하는 내내

2023년 5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SAPP 독서 내용 정리 11-4 ~11-5

소켓 인터페이스 💡 소켓 인터페이스는 함수들의 집합으로서, Unix I/O 함수들과 함께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는 Unix, 윈도우, 매킨토시와 같은 대부분의 현대 시스템에서 구현되어 있다. 소켓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전형적인 네트워

2023년 5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CSAPP 독서 내용 정리 11-1 ~11-3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래밍 모델 🛤️ 모든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2023년 5월 17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