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 12일차

열공하는바보·2023년 4월 26일
0

오늘은 객체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객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객체란, 키와 그 키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는 데이터입니다.

예시를 들자면, 말 그대로 키, 열쇠가 있다고 할 때, 그 키에 해당하는 자물쇠가

존재할 것입니다. 그렇죠?! 아래의 코드 예시를 봅시다.

let 객체 = { 'key' : 'lock'   };

객체는 왼쪽에 키를 적고 : 로 오른쪽의 값과 구분합니다. 각각의 키들은 ,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let 객체 {'key' : 'lock' , 'key2' : 'lock2'};

위와 같이 말이죠! 사실 처음에 객체를 접하면 이게 뭔가 싶을 것 같습니다. 저도 그랬거든요 ㅋㅋㅋ.

계속 보다보면 익숙해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렇다면 왜 객체를 써야하는건데!! 라는 의문이 자연스럽게 떠오릅니다. 저도 처음에 굳이 객체없이

let key = 'lock';
let key2 = 'lock2';

와 같이 써도 되지 않나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만약 데이터가 많아지면, 곤란해지겠죠?
그러면 자연스럽게 배열을 쓰면 되지 않나? 라는 궁금증이 생깁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배열도 객체입니다. typeof 를 써보시면 알 수 있죠. 배열은 인덱스를 키로 가지는 객체입니다.

그러면, 객체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됩니다. 아, 객체란, 여러 정보들을 하나로 묶어서 표현할 수 있구나! 하나로 묶게 되면 다루기가 쉬워지겠죠? 그 외에도 여러 이유가 있지만 일단은
이렇게 생각해두면 편할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세요~ 키가 엄청 많아지면, 키들을 묶잖아요? 그러니까

이렇게 말이죠. 바로 이게 객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 키들을 한번에 모아주는 것이죠~~

객체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가 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자 그럼, 오늘은 이만~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