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A에 대한 기존의 내 생각은 이랬다. "SQL로 다 할수 있고 핵결할수 있는데 굳이 필요한가?" "쿼리만 잘 쓰면 어떤 문제든지 해결할 수 있을것 같고 JPA로는 복잡한 문제는 해결하기 힘들어 보이는데 JPA를 쓸 필요가 있나?"결론은 필요했다. 그리고 해야했다.
swagger 연동 오류 https://goyunji.tistory.com/137
스프링프레임워크에서 코드를 작성해나가면서 자주 사용했던 어노테이션들과 사용해보지 않았던 어노테이션들도 한번 정리해보자.그 전에 @annotation 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고 있지 못하다면 한번 짚고 넘어가보자.annotation의 단순한 사전적 의미는 주석이다.그런데
React 프로젝트를 새로 생성할 떄 CRA는 매우 유용하다. 귀찮은 설정들을 일일이 하지 않게 해주니까 약간 Spring boot 같은 느낌이다. 일단 하나 만들어보자 my-app 이라는 리액트 앱을 하나만들고 필요없는 파일들을 모두 지운 후
useEffect 함수는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 특정 작업을 지정해서 실행시킬수 있게 해주는 함수이다.어떤 페이지가 렌더링 되었을 때 특정한 컴포넌트, 요소를 계속해서 렌더링 시킬 필요가 없을 때 일정한 조건에서만 한번 렌더링 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면 유용해 보인다.
개인적으로 작은 프로젝트들을 진행했던 일들이 있어서 크롤러 소스를 많이 만들고 업무를 자동화하거나 DB를 자동으로 쌓거나 하는 등의 작업들을 할 때 크롤링 소스들을 많이 만들었다.이전까지는 bs4로 작업을 하기 힘들어 보일 때 모두 셀레니움을 이용했는데 셀레니움을 이용
spring boot 개발을 위해 jdk 1.8 버전 설치를 진행해보자환경Macbook pro M1jdk 1.8.0_292-b10설치를 위해 먼저 Homebrew 가 설치 되어있어야한다.java가 설치 되어 있지 않다면 터미널에서 java -version명령어를 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