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7월19일]

김동규·2023년 7월 19일
0

BackOfficeProjcet

Git

Git을 Merge 하면서 생긴 병목

  1. Api 명세서와 ERD를 작성하긴 했지만, 각자 작성하다 보니 Entity와 필드명이 각기 다른
  2. Git Pull Request를 요청하고 병합하는 과정에서 매 사람마다 시간 소요 다수 발생 -> 이거에 대한 해결을 추후에 튜터님께 한번 여쭤볼 예정.
  3. Git commit 하지 않고 checkout을 할 경우 내용이 모두 날라가게 된다. 팀원중 한명이 겪었던 큰 일이다.

새로 알게 된 내용 정리

HttpServletResponse 와 HttpServletRequest 차이

HttpServlet 이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에서 서블릿 기능을 수행
따라서 개발자는 HttpServlet을 상속받아 많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WAS가 웹브라우저로부터 Servlet 요청을 받으면
요청 받을 때 전달 받은 정보를 HttpServletRequest 객체를 생성해서 저장한다.
웹브라우저에 응답을 반환할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한다. (응답을 담기 전 빈 객체)
생성된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Servlet에 전달한다.

Servlet이란?
WAS에서 동적 웹페이지 구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바 클래스의 일종 (프로그래밍 기술)
서블릿 관련 추상 메서드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Servlet 덕분에 개발자는 의미있는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할 수 있다.
EX. init(), service() 등

HttpServletRequest
HTTP 요청 정보(클라이언트 요청, 쿠키, 세션 등)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HTTP 프로토콜의 request 정보를 서블릿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Message Body의 Stream을 읽어들이는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메서드 예시>
a. getParameterNames() : 현재 요청에 포함된 매개변수 이름을 열거 형태로 넘겨준다.
b. getParameter(name) : 문자열 name과 같은 이름의 매개변수를 가져온다.

HttpServletResponse
HTTP 응답 정보(요청 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Servlet은 HttpServletResponse객체에 content-type, 응답 코드, 응답 메세지 등을 담아서 전송한다.
Servlet으로 들어온 요청은 텍스트(HTML)로 응답을 보내기 때문에 출력 스트림을 받기 위해 주로 response로부터 writer 객체를 얻어서 내보낸다.

PrintWriter w = response.getWriter();
<메서드 예시>
a. setContentType() : 요청에 대해 클라이언트에게 돌려줄 content-type 결정
b. setCharacterEncoding()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