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포트폴리오/협업환경구성(2)

Lina Hongbi Ko·2024년 8월 13일
0

Programmers_BootCamp

목록 보기
2/76
post-thumbnail

2024년 8월 13일

어제 이어서 깃, 깃허브의 개념을 배우고 자주 쓰는 명령어에 대해서 공부했다.

✏️ 분산식 버전 관리 시스템 "Git"

: 어제 배운 내용처럼 Git은 분산식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중앙에서 폴더(프로젝트) 통째로 저장해 왔다갔다 하며 작업하는 시스템

💡 그럼 Git과 Github는 뭔 차이?

  • Git : 로컬 버전 관리 시스템 / 내 컴퓨터에서 프로젝트를 관리[버전관리, 백업]하는 시스템 / Github와 소통하는 시스템

  • Github : 글로벌 버전 관리 시스템 / 원격으로 프로젝트를 관리[버전관리, 백업]하는 시스템(따라서 협업이 가능) / 다른 컴퓨터와 소통할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우리는 매번 생성되는 수정, 삭제 등 여러 작업들의 기록을 관리하기 위해 Git으로 로컬에서 그 기록들을 버전으로 만들어서 관리하고, 그 로컬에서 관리한 것들을 Github에 버전들의 히스토리를 백업 및 동기화한다. 그리고 다른 로컬(Git)에서 Github에 저장된 버전들을 가져와 협업 할 수 있다.

✏️ 내 컴퓨터에 Git 설치

사이트 : https://git-scm.com
각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하면 됨!
설치가 잘 되었으면 git -version을 확인할 것(Mac은 terminal에서, Window는 git bash에서 확인해보자)

✏️ CLI vs GUI

: 명령을 하는 방법의 차이인데,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그래픽으로 명령

💡 CLI (Command Line Interface)

: 글자로 명령
우리는 글자로 명령할 때, shell에서 컴퓨터에 명령을 시킨다. shell은 명령을 해주는 창을 의미하는데 terminal, windows terminal, MS DOS, cmd, bash ... 등을 말한다.

✏️ 오늘 배운 명령어

  • ls (list segments) : 폴더 안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보여줌 / ls -a : 조금 더 자세하게 보여줌
  • cd (change directory) : 폴더를 이동 시킴 / cd .. : 이전 폴더로 이동
  • mkdir (make directory) : 폴더를 만듦
  • init (initialize) : git init / 깃을 설치했다고 모든 것들을 관리해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깃에서 버전 관리를 해달라고 명령할때 사용
  • status : git status / 깃의 상태를 물어봄
  • add : git add / 깃이 트랙킹할 수 있게 해주줌 / 커밋 전까지 트랙킹하게 함
  • commit : git commit / 버전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해줌 / 스냅샷(사진)을 찍어 버전을 저장
  • log : git log / 버전 리스트를 볼 수 있게 해줌

❗️GUI로 git init, add, commit 명령도 내릴 수 있음(vscode)

❗️Git history를 설치하면 쉽게 확인도 가능(extensions에 검색해서 설치가능)


🍎🍏 Git 명령어 실습 및 history 설치

오늘의 수업도 끝~!

profile
프론트엔드개발자가 되고 싶어서 열심히 땅굴 파는 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