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5일
✏️ 오픈 소스란
✏️ 깃허브의 모든 public 프로젝트는 오픈 소스일까?
✏️ 오픈소스 라이선스
- 오픈 소스로 배포 / 준비 / 공개된 소스 코드를 사용할 때 지켜야하는 규칙 등을 명시하는 것
e.g) 리액트 is licensed under the MIT License
- 라이선스에 적힌 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 라이선스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깃허브 public 소스 코드를 임의로 사용하면?
-> 저작권 침해
✏️ 라이선스의 유래, OSI
- 오픈 소스 공개하는데 라이선스가 필요한 이유
- 오픈소스 명시
- 오픈 소스 공개 → 사용 / 배포 할때 조건(출처, 사용법, …)을 지켜달라
- 전 세계에서 오픈 소스를 관리, 보호 해주는 라이선스를 한 군데 모은 곳 : OSI
✏️ 대표적인 라이선스 종류, OLIS
- 오픈소스SW 라이선스 종합 정보 시스템 : OLIS
- 배포시 소스코드 제공 의무와 범위 → 중요
✏️ 라이선스 적용 사례, 안드로이드
- license.txt
- 소스 코드에 대한 공개 의무 등 의무 사항 X
- 수정해서 패포하면 아파치 라이센스, 버전 2.0, 저작권, copyright → 소스코드 or notice.txt / copyright.txt 에 정리해서 붙여넣어라
- 이미 시중에 오픈된 소스를 참고해서 쓰면 됨 (헷갈리면 다른 오픈 소스 벤치마킹)
✏️ 라이선스 적용 사례, 오픈 소스 가이드
- GPL(free software foundation (자유 소프트 재단) → GNU General Public License) 강력한 조항
- firefox, linux, git, maradb, wordpress
- 어떤 목적으로, 어떤 형태로든 다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배포 하는 경우엔 무조건 공개 해야함
- AGPL(e.g MongoDB), LGPL
- MIT
- bootstrap, react, angular, jquery
- 라이선스 및 저작권 표시 조건
- BSD
- https://opensource.guid/ko 참조
✏️ beerware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C%96%B4%EC%9B%A8%EC%96%B4
✏️ 오픈소스 라이선스 표기법
- 크롬
- 오픈소스명
- 공식홈페이지 주소 (링크)
- 라이센스 종류/이름
- 라이센스 전문(공식 내용, 문서)